Data Explorer
메뉴소개
특정 기업(종목)에 대한 광범위한 데이터를 하나의 메뉴에서 모두 조회합니다.
제공데이터
재무데이터 : 믿고 보실수 있는 NICE평가정보의 고품질 재무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주가정보 : NICE평가정보에서 새롭게 구축한 주가 정보와 그 파생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가치지표 : 재무데이터와 주가정보의 결합으로 계산되는 1,554개의 가치지표를 제공합니다.
주식수정보 : 상장종목의 발행주식수, 상장주식수, 자기주식수 와 함께 일수가중평균발행주식수 정보를 모두 제공합니다.
배당정보 : 현금배당 및 주식배당 정보를 제공합니다.
잠정실적정보 : 공시되는 모든 잠정실적 정보를 제공합니다.
컨센서스 정보 : 국내외 증권사, 연구소에서 수집된 다양한 보고서를 바탕으로 계산된 컨센서스 정보를 제공합니다.
사용방법
업체선택 : 조회하고자 하는 업체(종목)을 검색 / 선택합니다.
보고서선택 : 조회할 데이터를 선택합니다.
옵션선택 : 조회 데이터의 상세 검색 옵션을 선택합니다.
조회 : 데이터를 다운로드합니다.
업체 검색
종목명(업체명)이나 종목코드로 검색하는 경우 : 검색창에 해당 업체명이나 코드를 입력한 후 엔터키를 누릅니다.
검색버튼을 클릭하여 종목 검색창을 활성화합니다.
검색방법을 선택합니다.
키워드 검색 : 검색 키워드의 종류를 선택하고 키워드를 입력하여 업체(종목)을 검색합니다.
NICS (NICE Industry Classification Standard) 분류에 따른 산업분류를 선택(더블클릭)하여 소속 업체(종목)을 검색하여 선택합니다.
한국증권거래소의 업종분류 중 특정 업종을 선택(더블클릭)하여 소속 업체(종목)을 검색하여 선택합니다.
표준산업분류(10차만 제공) 중 특정 업종을 선택(더블클릭)하여 소속 업체(종목)을 검색하여 선택합니다.
선택 버튼을 눌려 선택을 완료합니다.
최근검색종목에서 선택
최근 검색 종목 중에서 원하는 업체(종목)을 더블클릭하여 선택합니다.
관심그룹에서 선택
사용자 저장한 관심그룹에 속하는 업체(종목) 중 하나를 더블클릭하여 선택합니다.
업체선택 완료 및 기초정보 확인
선택된 업체(종목)에 대해 상단 메시지창에 표시되는 업체 기본 정보를 확인합니다.
보고서 선택
주요재무정보 항목
재무업종에 따라 다음 중 하나의 계정값을 가집니다.
모든 계정의 단위는 1원입니다.
재무 계정 코드 관련 정보는 담당자에서 별도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S05000 : 종업원수
➔ 105000, A05000, B05000, C05000, D05000, E05000, F05000, G05000, H05000, I05000, J05000, K05000, Z05000
S11100 : 현금및현금성자산
➔ 111100, A12000, B11100, C11100, D11100, E11110, F11110, G11110, H11000, I11000, J11110, K11000, Z11000
S11150 : 매출채권
➔ 111150
S11233 : 단기투자자산
➔ 111233, J11200
S11300 : 당좌자산
➔ 111300
S11400 : 재고자산
➔ 111400
S12000 : 유동자산
➔ 112000, J11000
S13200 : 유형자산
➔ 113200, A13500, B14100, C11500, D11500, E14100, F14100, G14100, H14100, I14100, J14100, K14100, Z14100
S13200 : 유형자산
➔ 113200, A13500-A13560, B14100, C11500, D11500, E14100, F14100, G14100, H14100, I14100, J14100, K14100, Z14100
S13400 : 무형자산
➔ 113400, A13560, B14500, C14500, D14500, E14500, F14500, G14500, H14500, I14500, J14500, K14500, Z14500
S14000 : 비유동자산
➔ 114000, J14000
S15000 : 자산총계
➔ 115000, A14000, B15000, C15000, D15000, E15000, F15000, G15000, H15000, I15000, J15000, K15000, Z15000
S15110 : 매입채무
➔ 115110
S16000 : 유동부채
➔ 116000
S16200 : 장기차입금
➔ 116200
S17000 : 비유동부채
➔ 117000
S18000 : 부채총계
➔ 118000, A16900, B18000, C18000, D18000, E18000, F18000, G18000, H18000, I18000, J18000, K18000, Z18000
S18050 : 지배회사지분
➔ 118050, A17100, B18800, C18800, D18800, E18800, F18800, G18800, H18810, I18810, J18810, K18810, Z18810
S18100 : 자본금
➔ 118100, A17000, B18100, C18100, D18100, E18100, F18100, G18100, H18100, I18100, J18100, K18100, Z18100
S18111 : 보통주발행주식수
➔ 118111, A17129, B18111, C18111, D18111, E18111, F18111, G18111, H18111, I18111, J18111, K18111, Z18111
S18121 : 우선주발행주식수
➔ 118121, A17139, B18121, C18121, D18121, E18121, F18121, G18121, H18121, I18121, J18121, K18121, Z18121
S18431 : 보통주자기주식수
➔ 118431, A17631, B18531, C18531, D18531, E18531, F18531, G18531, H18531, I18531, J18531, K18531, Z18531
S18432 : 우선주자기주식수
➔ 118432, A17632, B18532, C18532, D18532, E18532, F18532, G18532, H18532, I18532, J18532, K18532, Z18532
S18900 : 자본총계
➔ 118900, A17800, B18900, C18900, D18900, E18900, F18900, G18900, H18900, I18900, J18900, K18900, Z18900
S19000 : 부채와자본총계
➔ 119000, A17900, B19000, C19000, D19000, E19000, F19000, G19000, H19000, I19000, J19000, K19000, Z19000
S19009 : 평균발행주식수
➔ 119009, A19009, B19009, C19009, D19009, E19009, F19009, G19009, H19009, I19009, J19009, K19009, Z19009
S19350 : 총차입금
➔ 119350
S21000 : 매출액
➔ 121000, A23000, B21000, C21000, D21100, E21000, F21000, G21000, H21000, I21000, J21000, K21000, Z21000
S21100 : 총매출액(총수익)
➔ 121100
S21190 : 총매출액-국내(총수익-국내)
➔ 121190
S21195 : 총매출액-수출(총수익-국내)
➔ 121195
S22000 : 매출원가
➔ 122000
S23000 : 매출총이익
➔ 123000
S24000 : 판매비와관리비
➔ 124000, A24310, B22900, E22150, F22710, G22150, H22230, I22500, J22190, K22620, Z22620
S24000 : 판매비와관리비
➔ 124000, A24310, B22900, E22150, F22710, G22150, H22230, I22500, J22190, K22620, Z22620
S25000 : 영업이익(손실)
➔ 125000, A25000, B26000, C26000, D26000, E26000, F26000, G26000, H26000, I26000, J26000, K26000, Z26000
S25101 : 이자수익
➔ 125101
S26110 : 이자비용(영업외비용)
➔ 126110
S28000 :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이익(손실)
➔ 128000, A28000, B28000, C28000, D28000, E28000, F28000, G28000, H28000, I28000, J28000, K28000, Z28000
S28160 : 계속영업이익(손실)
➔ 128160, A28120, B28110, C28110, D28110, E28110, F28110, G28110, H28110, I28110, J28110, K28110, Z28110
S28200 : 총당기순이익
➔ 128200, A28290, B28200, C28200, D28200, E28200, F28200, G28200, H28200, I28200, J28200, K28200, Z28200
S29000 : 당기순이익(손실)
➔ 129000, A28200, B29000, C29000, D29000, E29000, F29000, G29000, H29000, I29000, J29000, K29000, Z29000
S29001 : 포괄손익
➔ 129001, A29001, B29001, C29001, D29001, E29001, F29001, G29001, H29001, I29001, J29001, K29001, Z29001
S29009 : 기본주당순이익
➔ 129009, A28300, B29009, C29009, D29009, E29009, F29009, G29009, H29009, I29009, J29009, K29009, Z29009
S29019 : 희석주당순이익
➔ 129019, A28310, B29019, C29019, D29019, E29019, F29019, G29019, H29019, I29019, J29019, K29019, Z29019
S29050 : 기타포괄손익
➔ 129050, A28510, B28510, C28510, D28510, E28510, F28510, G28510, H28510, I28510, J28510, K28510, Z28510
S29060 : 포괄손익
➔ 129060, A28530, B28530, C28530, D28530, E28530, F28530, G28530, H28530, I28530, J28530, K28530, Z28530
S29061 : 당기순이익지배기업지분
➔ 129061, A28411, B28411, C28411, D28411, E28411, F28411, G28411, H28411, I28411, J28411, K28411, Z28411
S29063 : 포괄손익지배기업지분
➔ 129063, A28531, B28531, C28531, D28531, E28531, F28531, G28531, H28531, I28531, J28531, K28531, Z28531
S29390 : 금융비용
➔ 129390
S29700 : EBITDA
➔ 129700
S36301 : 우선주배당금
➔ 136301, A34702, B34702, C34702, D34702, E34702, F34702, G34702, H34702, I34702, J34702, K34702, Z34702
S36302 : 보통주배당금
➔ 136302, A34701, B34701, C34701, D34701, E34701, F34701, G34701, H34701, I34701, J34701, K34701, Z34701
S61000 : 영업활동으로인한현금흐름
➔ 161000, A41000, B41000, C41000, D41000, E41000, F41000, G41000, H41000, I41000, J41000, K41000, Z41000
S61211 : 유형, 임대주택자산감가상각비
➔ 161211
S61212 : 무형자산상각비
➔ 161212
S62500 : 투자활동으로인한현금유출액
➔ 162500, A44010, B46110, C46010, D44010, E46010, F46110, G46110, H46110, I46110, J46110, K46050, Z46050
S62550 : 유, 무형, 리스자산의증가
➔ 162550
S91010 : 총자산증가율
➔ 191010, A91010, B91010, C91010, D91010, E91010, F91010, G91010, H91010, I91010, J91010, K91010, Z91010
S91020 : 유형자산증가율
➔ 191020
S91050 : 자기자본증가율
➔ 191050, A91020, B91020, C91020, D91020, E91020, F91020, G91020, H91020, I91020, J91020, K91020, Z91020
S91060 : 영업수익증가율
➔ 191060, A91070, B91070, C91070, D91170, E91070, F91070, G91070, H91070, I91070, J91070, K91070, Z91070
S92140 : 매출원가율
➔ 192140
S92260 : 이자보상비율
➔ 192260
S93010 : 자기자본비율
➔ 193010, A93010, B93010, C93010, D93010, E93010, F93010, G93010, H93010, I93010, J93010, K93010, Z93010
S93020 : 유동비율
➔ 193020, J93040
S93030 : 당좌비율
➔ 193030
S93050 : 비유동장기적합률
➔ 193050
S93060 : 부채비율
➔ 193060, A93020, B93020, C93020, D93020, E93020, F93020, G93020, H93020, I93020, J93020, K93020, Z93020
S93070 : 유동부채비율
➔ 193070
S93080 : 비유동부채비율
➔ 193080
S93090 : 차입금의존도
➔ 193090, H93270
S93120 : 매입채무/재고자산비율
➔ 193120
S94020 : 자기자본회전율
➔ 194020, A94020, B94020, C94020, D94020, E94020, F94020, G94020, H94020, I94020, J94020, K94020, Z94020
S94030 : 자본금회전율
➔ 194030, A23000/((A17000+A17000(-1))/2), B21000/((B18100+B18100(-1))/2), C21000/((C18100+C18100(-1))/2), D21100/((D18100+D18100(-1))/2), E21000/((E18100+E18100(-1))/2), F21000/((F18100+F18100(-1))/2), G21000/((G18100+G18100(-1))/2), H21000/((H18100+H18100(-1))/2), I21000/((I18100+I18100(-1))/2), J21000/((J18100+J18100(-1))/2), K21000/((K18100+K18100(-1))/2), Z21000/((Z18100+Z18100(-1))/2)
S94060 : 비유동자산회전율
➔ 194060
S94070 : 유형자산회전율
➔ 194070
S94080 : 재고자산회전율
➔ 194080
S94120 : 매출채권회전율
➔ 194120
S94130 : 매입채무회전율
➔ 194130
S95010 : 부가가치(종업원1인당)
➔ 195010
S95011 : 부가가치
➔ 128000+129390+124100+124214+124215+124226+129100-123111-125101+152000+153150+153160+153240+153241
S95020 : 종업원1인당영업수익
➔ 195020, A95010, B95010, C95010, D95210, E95010, F95010, G95010, H95010, I95010, J95010, K95010, Z95010
S95030 : 종업원1인당세전이익
➔ 195030, A95230, B95230, C95230, D95230, E95230, F95230, G95230, H95230, I95230, J95230, K95230, Z95230
S95040 : 종업원1인당순이익
➔ 195040, A95020, B95020, C95020, D95020, E95020, F95020, G95020, H95020, I95020, J95020, K95020, Z95020
S95040 : 종업원1인당순이익
➔ 195040, A95020, B95020, C95020, D95020, E95020, F95020, G95020, H95020, I95020, J95020, K95020, Z95020
S95050 : 종업원1인당인건비
➔ 195050, A95030, B95030, C95030, D95030, E95030, F95030, G95030, H95030, I95030, J95030, K95030, Z95030
S95051 : 인건비
➔ 124100+152000+153240, A24400, B22910, C22860+C22865+C22870+C22875+C23150+C23155+C23160+C23165, D22511+D22512+D22513, E22151, F22690+F22711, G22151, H22231+H27520, I22510, J22191, K22621+K22550, Z22621+Z22550
➔ 생명보험 업종 : C22860, C23150 두 계정 모두 값이 있는 경우 산출
➔ 손헤보험 업종 : D22511 계정 값이 있는 경우 산출
➔ 단자 업종 : F22711 계정 값이 있는 경우 산출
➔ 리스업종 : H22231 게정값이 있는 계산
➔ 할부금융 업종 : K22621 계정값이 있는 경우 계산
➔ 기타 금융 업종 : Z22621계정값이 있는 경우 계산
S95080 : 자본집약도(종업원1인당)
➔ 195080
S95120 : 부가가치율
➔ 195120
S95130 : 노동소득분배율
➔ 195130
주요재무TTM 계정
주요 재무 계정에 한해서 최근 4분기 합산 값을 보여줌니다.
재무상태표 계정은 주요재무와 동일값을 가집니다.
결산보고서인 경우 최근 4분기와 동일하기 떄문에 동일값을 가집니다.
1분기의 경우 1분기 공시값과 전년도 2, 3, 4 분기 값의 합으로 계산됩니다.
2분기의 경우 2분기 공시값과 전년도 3, 4 분기 값의 합으로 계산됩니다.
1분기의 경우 3분기 공시값과 전년도 4 분기 값의 합으로 계산됩니다.
재무업종에 따라 다음 중 하나의 계정값을 가집니다.
모든 계정의 단위는 1원입니다.
T05000 : 종업원수
➔ 105000, A05000, B05000, C05000, D05000, E05000, F05000, G05000, H05000, I05000, J05000, K05000, Z05000
T11100 : 현금및현금성자산
➔ 111100, A12000, B11100, C11100, D11100, E11110, F11110, G11110, H11000, I11000, J11110, K11000, Z11000
T11150 : 매출채권
➔ 111150
T11233 : 단기투자자산
➔ 111233, J11200
T11300 : 당좌자산
➔ 111300
T11400 : 재고자산
➔ 111400
T12000 : 유동자산
➔ 112000, J11000
T13200 : 유형자산
➔ 113200, A13500, B14100, C11500, D11500, E14100, F14100, G14100, H14100, I14100, J14100, K14100, Z14100
T13200 : 유형자산
➔ 113200, A13500-A13560, B14100, C11500, D11500, E14100, F14100, G14100, H14100, I14100, J14100, K14100, Z14100
T13400 : 무형자산
➔ 113400, A13560, B14500, C14500, D14500, E14500, F14500, G14500, H14500, I14500, J14500, K14500, Z14500
T14000 : 비유동자산
➔ 114000, J14000
T15000 : 자산총계
➔ 115000, A14000, B15000, C15000, D15000, E15000, F15000, G15000, H15000, I15000, J15000, K15000, Z15000
T15110 : 매입채무
➔ 115110
T16000 : 유동부채
➔ 116000
T16200 : 장기차입금
➔ 116200
T17000 : 비유동부채
➔ 117000
T18000 : 부채총계
➔ 118000, A16900, B18000, C18000, D18000, E18000, F18000, G18000, H18000, I18000, J18000, K18000, Z18000
T18050 : 지배회사지분
➔ 118050, A17100, B18800, C18800, D18800, E18800, F18800, G18800, H18810, I18810, J18810, K18810, Z18810
T18100 : 자본금
➔ 118100, A17000, B18100, C18100, D18100, E18100, F18100, G18100, H18100, I18100, J18100, K18100, Z18100
T18111 : 보통주발행주식수
➔ 118111, A17129, B18111, C18111, D18111, E18111, F18111, G18111, H18111, I18111, J18111, K18111, Z18111
T18121 : 우선주발행주식수
➔ 118121, A17139, B18121, C18121, D18121, E18121, F18121, G18121, H18121, I18121, J18121, K18121, Z18121
T18431 : 보통주자기주식수
➔ 118431, A17631, B18531, C18531, D18531, E18531, F18531, G18531, H18531, I18531, J18531, K18531, Z18531
T18432 : 우선주자기주식수
➔ 118432, A17632, B18532, C18532, D18532, E18532, F18532, G18532, H18532, I18532, J18532, K18532, Z18532
T18900 : 자본총계
➔ 118900, A17800, B18900, C18900, D18900, E18900, F18900, G18900, H18900, I18900, J18900, K18900, Z18900
T19000 : 부채와자본총계
➔ 119000, A17900, B19000, C19000, D19000, E19000, F19000, G19000, H19000, I19000, J19000, K19000, Z19000
T19009 : 평균발행주식수
➔ 119009, A19009, B19009, C19009, D19009, E19009, F19009, G19009, H19009, I19009, J19009, K19009, Z19009
T19350 : 총차입금
➔ 119350
T21000 : 매출액
➔ 121000, A23000, B21000, C21000, D21100, E21000, F21000, G21000, H21000, I21000, J21000, K21000, Z21000
T21100 : 총매출액(총수익)
➔ 121100
T21190 : 총매출액-국내(총수익-국내)
➔ 121190
T21195 : 총매출액-수출(총수익-국내)
➔ 121195
T22000 : 매출원가
➔ 122000
T23000 : 매출총이익
➔ 123000
T24000 : 판매비와관리비
➔ 124000, A24310, B22900, E22150, F22710, G22150, H22230, I22500, J22190, K22620, Z22620
T24000 : 판매비와관리비
➔ 124000, A24310, B22900, E22150, F22710, G22150, H22230, I22500, J22190, K22620, Z22620
T25000 : 영업이익(손실)
➔ 125000, A25000, B26000, C26000, D26000, E26000, F26000, G26000, H26000, I26000, J26000, K26000, Z26000
T25101 : 이자수익
➔ 125101
T26110 : 이자비용(영업외비용)
➔ 126110
T28000 :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이익(손실)
➔ 128000, A28000, B28000, C28000, D28000, E28000, F28000, G28000, H28000, I28000, J28000, K28000, Z28000
T28160 : 계속영업이익(손실)
➔ 128160, A28120, B28110, C28110, D28110, E28110, F28110, G28110, H28110, I28110, J28110, K28110, Z28110
T28200 : 총당기순이익
➔ 128200, A28290, B28200, C28200, D28200, E28200, F28200, G28200, H28200, I28200, J28200, K28200, Z28200
T29000 : 당기순이익(손실)
➔ 129000, A28200, B29000, C29000, D29000, E29000, F29000, G29000, H29000, I29000, J29000, K29000, Z29000
T29001 : 포괄손익
➔ 129001, A29001, B29001, C29001, D29001, E29001, F29001, G29001, H29001, I29001, J29001, K29001, Z29001
T29009 : 기본주당순이익
➔ 129009, A28300, B29009, C29009, D29009, E29009, F29009, G29009, H29009, I29009, J29009, K29009, Z29009
T29019 : 희석주당순이익
➔ 129019, A28310, B29019, C29019, D29019, E29019, F29019, G29019, H29019, I29019, J29019, K29019, Z29019
T29050 : 기타포괄손익
➔ 129050, A28510, B28510, C28510, D28510, E28510, F28510, G28510, H28510, I28510, J28510, K28510, Z28510
T29060 : 포괄손익
➔ 129060, A28530, B28530, C28530, D28530, E28530, F28530, G28530, H28530, I28530, J28530, K28530, Z28530
T29061 : 당기순이익지배기업지분
➔ 129061, A28411, B28411, C28411, D28411, E28411, F28411, G28411, H28411, I28411, J28411, K28411, Z28411
T29063 : 포괄손익지배기업지분
➔ 129063, A28531, B28531, C28531, D28531, E28531, F28531, G28531, H28531, I28531, J28531, K28531, Z28531
T29390 : 금융비용
➔ 129390
T29700 : EBITDA
➔ 129700
T36301 : 우선주배당금
➔ 136301, A34702, B34702, C34702, D34702, E34702, F34702, G34702, H34702, I34702, J34702, K34702, Z34702
T36302 : 보통주배당금
➔ 136302, A34701, B34701, C34701, D34701, E34701, F34701, G34701, H34701, I34701, J34701, K34701, Z34701
T61000 : 영업활동으로인한현금흐름
➔ 161000, A41000, B41000, C41000, D41000, E41000, F41000, G41000, H41000, I41000, J41000, K41000, Z41000
T61211 : 유형, 임대주택자산감가상각비
➔ 161211
T61212 : 무형자산상각비
➔ 161212
T62500 : 투자활동으로인한현금유출액
➔ 162500, A44010, B46110, C46010, D44010, E46010, F46110, G46110, H46110, I46110, J46110, K46050, Z46050
T62550 : 유, 무형, 리스자산의증가
➔ 162550
T91010 : 총자산증가율
➔ 191010, A91010, B91010, C91010, D91010, E91010, F91010, G91010, H91010, I91010, J91010, K91010, Z91010
T91020 : 유형자산증가율
➔ 191020
T91050 : 자기자본증가율
➔ 191050, A91020, B91020, C91020, D91020, E91020, F91020, G91020, H91020, I91020, J91020, K91020, Z91020
T91060 : 영업수익증가율
➔ 191060, A91070, B91070, C91070, D91170, E91070, F91070, G91070, H91070, I91070, J91070, K91070, Z91070
T92140 : 매출원가율
➔ 192140
T92260 : 이자보상비율
➔ 192260
T93010 : 자기자본비율
➔ 193010, A93010, B93010, C93010, D93010, E93010, F93010, G93010, H93010, I93010, J93010, K93010, Z93010
T93020 : 유동비율
➔ 193020, J93040
T93030 : 당좌비율
➔ 193030
T93050 : 비유동장기적합률
➔ 193050
T93060 : 부채비율
➔ 193060, A93020, B93020, C93020, D93020, E93020, F93020, G93020, H93020, I93020, J93020, K93020, Z93020
T93070 : 유동부채비율
➔ 193070
T93080 : 비유동부채비율
➔ 193080
T93090 : 차입금의존도
➔ 193090, H93270
T93120 : 매입채무/재고자산비율
➔ 193120
T94020 : 자기자본회전율
➔ 194020, A94020, B94020, C94020, D94020, E94020, F94020, G94020, H94020, I94020, J94020, K94020, Z94020
T94030 : 자본금회전율
➔ 194030, A23000/((A17000+A17000(-1))/2), B21000/((B18100+B18100(-1))/2), C21000/((C18100+C18100(-1))/2), D21100/((D18100+D18100(-1))/2), E21000/((E18100+E18100(-1))/2), F21000/((F18100+F18100(-1))/2), G21000/((G18100+G18100(-1))/2), H21000/((H18100+H18100(-1))/2), I21000/((I18100+I18100(-1))/2), J21000/((J18100+J18100(-1))/2), K21000/((K18100+K18100(-1))/2), Z21000/((Z18100+Z18100(-1))/2)
T94060 : 비유동자산회전율
➔ 194060
T94070 : 유형자산회전율
➔ 194070
T94080 : 재고자산회전율
➔ 194080
T94120 : 매출채권회전율
➔ 194120
T94130 : 매입채무회전율
➔ 194130
T95010 : 부가가치(종업원1인당)
➔ 195010
T95011 : 부가가치
➔ 128000+129390+124100+124214+124215+124226+129100-123111-125101+152000+153150+153160+153240+153241
T95020 : 종업원1인당영업수익
➔ 195020, A95010, B95010, C95010, D95210, E95010, F95010, G95010, H95010, I95010, J95010, K95010, Z95010
T95030 : 종업원1인당세전이익
➔ 195030, A95230, B95230, C95230, D95230, E95230, F95230, G95230, H95230, I95230, J95230, K95230, Z95230
T95040 : 종업원1인당순이익
➔ 195040, A95020, B95020, C95020, D95020, E95020, F95020, G95020, H95020, I95020, J95020, K95020, Z95020
T95040 : 종업원1인당순이익
➔ 195040, A95020, B95020, C95020, D95020, E95020, F95020, G95020, H95020, I95020, J95020, K95020, Z95020
T95050 : 종업원1인당인건비
➔ 195050, A95030, B95030, C95030, D95030, E95030, F95030, G95030, H95030, I95030, J95030, K95030, Z95030
T95051 : 인건비
➔ 124100+152000+153240, A24400, B22910, C22860+C22865+C22870+C22875+C23150+C23155+C23160+C23165, D22511+D22512+D22513, E22151, F22690+F22711, G22151, H22231+H27520, I22510, J22191, K22621+K22550, Z22621+Z22550
➔ 생명보험 업종 : C22860, C23150 두 계정 모두 값이 있는 경우 산출
➔ 손헤보험 업종 : D22511 계정 값이 있는 경우 산출
➔ 단자 업종 : F22711 계정 값이 있는 경우 산출
➔ 리스업종 : H22231 게정값이 있는 계산
➔ 할부금융 업종 : K22621 계정값이 있는 경우 계산
➔ 기타 금융 업종 : Z22621계정값이 있는 경우 계산
T95080 : 자본집약도(종업원1인당)
➔ 195080
T95120 : 부가가치율
➔ 195120
T95130 : 노동소득분배율
➔ 195130
재무제표 : 재무상테표, 손익계산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현금흐름표, 재무비율, 자본변동표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연결재무제표 : 연결재무상테표, 연결손익계산서, 연결자본변동표, 연결현금흐름표, 연결재무비율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일별시장정보 : 종가정보, 주가지표, 이동평균정보, 가치지표정보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종가정보 : 시가, 고가, 저가, 종가, 수정주가, 시가총액, 거래대금, 거래량, 상장주식수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세 내용은 3.옵션선택 항목을 참조하세요.
주가지표 : 전주대비, 전월대비, 3개월전대비, 6개월전대비, 9개월전대비, 주초대비, 월초대비, 년초대비로 구분되어 시가, 고가, 저가, 종가, 수정주가, 시가총액, 거래대금, 거래량, 상장주식수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세 내용은 3.옵션선택 항목을 참조하세요.
이동평균정보 : 5일, 20일, 60일, 120일로 구분되 종가, 수정주가, 시가총액, 거래량, 거래대금, 외국인보유지분율, 외국인보유주식수, 상장주식수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가지표 : 전주대비, 전월대비, 3개월전대비, 6개월전대비, 9개월전대비, 주초대비, 월초대비, 년초대비로 구분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수정주가, 시가총액, 거래대금, 거래량, 상장주식수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가치지표정보 : 코스피대베타, 소속섹터대베타을 포함 수 많은 계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세 내용은 3.옵션선택 항목을 참조하세요.
가치지표 정보 : 가격지표, 주식수지표, 투자지표, 배당지표, 잠정실적지표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가격지표정보 : 기말종가, 최고주가, 최저주가, 기말수정주가, 평균수정주가 등 많은 계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세 내용은 3.옵션선택 항목을 참조하세요.
주식수지표정보 : 일수가중평균발행주식수, 기말자기주식수, 상장주식수, 기말발행주식수 등의 계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세 내용은 3.옵션선택 항목을 참조하세요.
투자지표정보 : EPS, PER 등 수 많은 계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세 내용은 3.옵션선택 항목을 참조하세요.
배당지표 : 배당 관련 다양한 계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세 내용은 3.옵션선택 항목을 참조하세요.
잠정실적지표정보 : 잠정실적을 기반으로 생성돤 다양한 계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세 내용은 3.옵션선택 항목을 참조하세요.
주식수정보 : 일별 주식수와 월별 주식수 정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일별주식수 : 일자별 발행주식수와 자기주식수, 일수가중평균발행주식수 정보를 보여줍니다.
월별주식수 : 매월 말일자 기준의 발행주식수와 자기주식수, 일수가중평균발행주식수 정보를 보여줍니다.
배당정보 : 현금배당, 주식배당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현금배당정보 : 기말배당뿐만 아니라 중간배당까지 모든 배당에 대해 주당배당금과 배당율 정보를 보여줍니다.
주식배당정보 : 주식 배당이 있는 경우 배당주식수 등의 정보를 보여줍니다.
잠정실적 정보 : 잠정실적 공시정보와 잠정실적 TTM 정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잠정실적 공시정보 : 공시된 잠정실적과 실제 결산 공시된 실적값을 비교하여 보여줍니다.
공시된 잠정실적과 이전 3분기 공시값을 합산하여 결산 실적을 예측하는 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컨센서스 정보 : 목표주가와 컨센서스 정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목표주가 정보 : 목표주가뿐만 아니라 투자의견의 다양한 합산 정보를 보여줍니다.
컨센서스 정보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세전계속사업이익 등의 컨센서스값을 보여줍니다.
옵션선택
앞서 선택한 보고서에 따라 그에 맞는 옵션값을 선택하다록 합니다.
재무관련 옵션
회계 : IFRS와 K-GAAP 중 선택합니다.
결산 : 조회하고자 하는 보고서의 결산 구분을 선택합니다.
➔ 결산, 반기, 1분기(1Q), 2분기(3Q), 2기간(2기), 3기간(3기), 4기간(4기), 전체(1분기+반기+3분기+결산) 중 선택합니다.
기간 : 최근 3년, 최근5년 중 선택하거나, 선택 옵션을 통해 직접 기간을 선택합니다.
➔ 최대 20년까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결산옵션이 전체인 경우 5년)
계정 : 전체계정, 공시계정, 주요계정 중 선택합니다.
전체계정 : NICE평가정보의 모든 재무계정
공시계정 : 값을 가지는 모든 재무계정
주요계정 : 일부 선별된 주요 계정
단위 : 1월 부터 10억 중 원하는 단위를 선택합니다.
종가정보관련 옵션
기간 : 조회하고자 하는 기간을 선택합니다. 캍린더에서 직접 선택하거나, YYYY-MM-DD 형식으로 직접 입력합니다.
시점 : 전체, 월, 화, 수, 목, 금, 월초, 월말 중 선택합니다.
전체 : 모든 거래일자의 정보를 출력합니다.
월요일 : 매주 월요일자의 정보만 출력합니다. (월요일이 휴일인 경우 직전 거래일의 정보로 대체됩니다.)
화요일 : 매주 화요일자의 정보만 출력합니다. (화요일이 휴일인 경우 직전 거래일의 정보로 대체됩니다.)
수요일 : 매주 수요일자의 정보만 출력합니다. (수요일이 휴일인 경우 직전 거래일의 정보로 대체됩니다.)
목요일 : 매주 목요일자의 정보만 출력합니다. (목요일이 휴일인 경우 직전 거래일의 정보로 대체됩니다.)
금요일 : 매주 금요일자의 정보만 출력합니다. (금요일이 휴일인 경우 직전 거래일의 정보로 대체됩니다.)
월초 : 매월 첫 거래일의 정보만 출력합니다.
월말 : 매월 마지막 거래일의 정보만 출력합니다.
제공항목
시가
고가
저가
종가
수정주가
시가총액
시가총액(상장예정주식수) : 발행되었으나 상장하지 않은 주식수의 시가총액 포함
거래대금
거래량
상장주식수
상장주식수(상장예정주식수) : 발행되었으나 상장하지 않은 주식수 포함
외국인보유주식수
외국보유지분율
액면가
주가변동액 : 당일종가 - 전일종가
주가변동율(절대수익률) : 당일수정주가 / 전일수정주가- 1
상대수익률 : (당일수정주가/전일수정주가) / (당일자코스피지수 또는 코스닥지수 / 전일자코스피지수 또는 코스닥지수)
초과수익률 : (당일수정주가/전일수정주가) - (당일자코스피지수 또는 코스닥지수/ 전일자코스피지수 또는 코스닥지수)
로그수익률 : ln(당일수정주가/전일수정주가)
주가지표정보 관련 옵션
기간 : 조회하고자 하는 기간을 선택합니다. 캘린더에서 직접 선택하거나, YYYY-MM-DD 형식으로 직접 입력합니다.
기준 : 전주대비, 전월대비, 3개월전대비, 6개월전대비, 9개월전대비, 주초대비, 월초대비, 년초대비 중 선택합니다.
제공항목
➔ 시가
➔ 고가
➔ 저가
➔ 종가
➔ 최고종가
➔ 최저종가
➔ 평균종가
➔ 최저수정주가
➔ 최고수정주가
➔ 평균수정주가
➔ 상장주식수변동
➔ 최고거래량
➔ 최저거래량
➔ 누적거래량
➔ 평균거래량
➔ 최고거래대금
➔ 최저거래대금
➔ 누적거래대금
➔ 평균거래대금
➔ 평균시가총액
➔ 최고외국인지분율
➔ 최저외국인지분율
➔ 평균외국인지분율
➔ 평균외국인보유주식수
➔ 절대수익률
➔ 상대수익률
➔ 초과수익률
➔ 로그수익률
이동평균정보
기간 : 조회하고자 하는 기간을 선택합니다. 캘린더에서 직접 선택하거나, YYYY-MM-DD 형식으로 직접 입력합니다.
기준 : 이동평균 기간을 5일, 20일, 60일, 120일 중 선택합니다.
항목
➔ 이동평균 종가
➔ 이동평균 수정주가
➔ 이동평균 시가총액
➔ 이동평균 거래량
➔ 이동평균 거래대금
➔ 이동평균 외국인보유지분율
➔ 이동평균 외국인보유주식수
➔ 이동평균 상장주식수
가치지표정보 관련 옵션
기간 : 조회하고자 하는 기간을 선택합니다. 캘린더에서 직접 선택하거나, YYYY-MM-DD 형식으로 직접 입력합니다.
기준 : EPS 등 일부계정에 대해 연결 기준과 개별 기준을 선택합니다.
시점 : 전체, 월, 화, 수, 목, 금, 월초, 월말 중 선택합니다.
전체 : 모든 거래일자의 정보를 출력합니다.
월요일 : 매주 월요일자의 정보만 출력합니다. (월요일이 휴일인 경우 직전 거래일의 정보로 대체됩니다.)
화요일 : 매주 화요일자의 정보만 출력합니다. (화요일이 휴일인 경우 직전 거래일의 정보로 대체됩니다.)
수요일 : 매주 수요일자의 정보만 출력합니다. (수요일이 휴일인 경우 직전 거래일의 정보로 대체됩니다.)
목요일 : 매주 목요일자의 정보만 출력합니다. (목요일이 휴일인 경우 직전 거래일의 정보로 대체됩니다.)
금요일 : 매주 금요일자의 정보만 출력합니다. (금요일이 휴일인 경우 직전 거래일의 정보로 대체됩니다.)
월초 : 매월 첫 거래일의 정보만 출력합니다.
월말 : 매월 마지막 거래일의 정보만 출력합니다.
항목
➔ 코스피대베타 : 직전 1년 코스피지수 대비 베타 = ( 종가의수 * sum(종목수익률*코스피수익률) - sum(종목수익률) * sum(코스피수익률) ) / ( 종가의수* sum(코스피수익률*코스피수익률) - sum(코스피수익률) * sum(코스피수익률) )
➔ 코스닥대베타 : 직전 1년 코스닥지수 대비 베타 = ( 종가의수 * sum(종목수익률*코스닥수익률) - sum(종목수익률) * sum(코스닥수익률) ) / ( 종가의수* sum(코스닥수익률*코스닥수익률) - sum(코스닥수익률) * sum(코스닥수익률) )
➔ 소속섹터대베타 : 직전 1년 소속 업종(소분류) 지수 대비 베타 = ( 종가의수 * sum(종목수익률*업종수익률) - sum(종목수익률) * sum(업종수익률) ) / ( 종가의수* sum(업종익률*업종수익률) - sum(업종수익률) * sum(업종수익률) )
소속섹터가 다음 주 하나 인 경우에만 계산
KGS01P: 유가증권시장 - 음식료품
KGS02P: 유가증권시장 - 섬유,의복
KGS03P: 유가증권시장 - 종이,목재
KGS04P: 유가증권시장 - 화학
KGS05P: 유가증권시장 - 의약품
KGS06P: 유가증권시장 - 비금속광물
KGS07P: 유가증권시장 - 철강및금속
KGS08P: 유가증권시장 - 기계
KGS09P: 유가증권시장 - 전기,전자
KGS19P: 유가증권시장 - 의료정밀
KGS10P: 유가증권시장 - 운수장비
KGS11P: 유가증권시장 - 유통업
KGS20P: 유가증권시장 - 전기가스업
KGS12P: 유가증권시장 - 건설업
KGS13P: 유가증권시장 - 운수창고
KGS21P: 유가증권시장 - 통신업
KGS15P: 유가증권시장 - 은행
KGS16P: 유가증권시장 - 증권
KGS17P: 유가증권시장 - 보험
KQ0500: 유가증권시장 - 농업
KQ0510: 유가증권시장 - 임업
KQ0520: 유가증권시장 - 어업
KQ0530: 유가증권시장 - 연료광업
KQ0540: 유가증권시장 - 금속광업
KQ0550: 유가증권시장 - 비금속광업
QGS09P: 코스닥시장 - 음식료·담배
QGS10P: 코스닥시장 - 섬유·의류
QGS11P: 코스닥시장 - 종이·목재
QGS12P: 코스닥시장 - 출판·매체복제
QGS13P: 코스닥시장 - 화학
QGS33P: 코스닥시장 - 제약
QGS14P: 코스닥시장 - 비금속
QGS15P: 코스닥시장 - 금속
QGS16P: 코스닥시장 - 기계·장비
QGS17P: 코스닥시장 - 일반전기전자
QGS18P: 코스닥시장 - 의료·정밀기기
QGS19P: 코스닥시장 - 운송장비·부품
QGS20P: 코스닥시장 - 기타 제조
KQ0780: 코스닥시장 - 재생원료
KQ0790: 코스닥시장 - 전기·가스
KQ0800: 코스닥시장 - 수도
QGS65P: 코스닥시장 - 종합건설
QGS66P: 코스닥시장 - 전문건설
KQ0830: 코스닥시장 - 자동차판매
QGS68P: 코스닥시장 - 도매
KQ0850: 코스닥시장 - 소매
KQ0860: 코스닥시장 - 숙박·음식
KQ0870: 코스닥시장 - 육상운송
KQ0880: 코스닥시장 - 수상운송
KQ0890: 코스닥시장 - 항공운송
KQ0900: 코스닥시장 - 여행·운송서비스
QGS75P: 코스닥시장 - 금융
KQ0930: 코스닥시장 - 보험
KQ0940: 코스닥시장 - 금융서비스
KQ0950: 코스닥시장 - 부동산
KQ0960: 코스닥시장 - 장비임대
KQ0980: 코스닥시장 - 연구·개발
QGS81P: 코스닥시장 - 전문기술
KQ0930: 코스닥시장 - 사업지원
KQ0940: 코스닥시장 - 행정
KQ0950: 코스닥시장 - 교육
KQ0960: 코스닥시장 - 보건
KQ0980: 코스닥시장 - 복지
QGS87P: 코스닥시장 - 오락·문화
KQ1070: 코스닥시장 - 환경
KQ1080: 코스닥시장 - 회원단체
KQ1090: 코스닥시장 - 수리
KQ1100: 코스닥시장 - 기타서비스
KQ1110: 코스닥시장 - 가사서비스
KQ1120: 코스닥시장 - 외국기관
QGS21P: 코스닥시장 - 통신서비스
QGS22P: 코스닥시장 - 방송서비스
QGS23P: 코스닥시장 - 인터넷
QGS24P: 코스닥시장 - 디지털컨텐츠
QGS25P: 코스닥시장 - 소프트웨어
QGS26P: 코스닥시장 - 컴퓨터서비스
QGS27P: 코스닥시장 - 통신장비
QGS28P: 코스닥시장 - 정보기기
QGS29P: 코스닥시장 - 반도체
QGS30P: 코스닥시장 - IT부품
➔ EWI대베타 : 유가중권시장 소속 종목인 경우 유가증권시장의 EWI수익률 대비 베타/코스닥 종목인 경우 코스닥 EWI수익률 대비 베타값
➔ 변동성 : 직전 1년간의 변동성 = Sqrt((종가의수 * sum(종목수익률*종목수익률) - sum(종목수익률) * sum(종목수익률)) / (종가의수*(종가의수-1))) * Sqrt(영업일수)
➔ PER : 해당일자 종가 / EPS-I
➔ PER(TTM) : 해당일자 종가 / EPS-I (TTM)
➔ PER(추정) : 해당일자 종가 / 직전 산출 EPS(컨센서스)
➔ PER(잠정실적) : 해당일자 종가 / EPS-I 잠정실적
➔ PER(잠정, 연환산) : 해당일자 종가 / EPS-I 잠정실적의 연환산
➔ PER(잠정, TTM) : 해당일자 종가 / EPS-I (잠정, TTM)
➔ PEG : 해당일자의 PER / EPS증가율
➔ PBR : 주가순자산비율
➔ PSR : 주당매출비율
➔ PSR(TTM) : 주당매출비율 (TTM)
➔ PSR(잠정실작) : 주당매출비율 (잠정실적)
➔ PSR(잠정, 연환산) : 주당매출비율 (잠정실적, 연환산)
➔ PSR(잠정, TTM) : 주당매출비율 (잠정실적, TTM)
➔ PCR : 주가현금흐름비율
➔ PCR(TTM) : 주가현금흐름비율
➔ P/CE : 해당일자의 종가 대 CE 의 비율
➔ P/CE(TTM) : 해당일자의 종가 대 직전 4분기 CE 의 비율
➔ P/EBITPS : 해당일자의 종가 대 주당EBIT의 비율
➔ P/EBITPS(TTM) : 해당일자의 종가 대 직전 4분기 주당EBIT의 비율
➔ P/EBITDAPS : 해당일자의 종가 대 주당 EBITDA의 비율
➔ P/EBITDAPS (고가) : 해당일자의 고가 대 주당 EBITDA의 비율
➔ P/EBITDAPS (저가) : 해당일자의 저가 대 주당 EBITDA의 비율
➔ P/EBITDAPS(TTM) : 해당일자의 종가 대 직전 4분기 주당 EBITDA의 비율
➔ P/EBITDAPS(TTM, 고가) : 해당일자의 고가 대 직전 4분기 주당 EBITDA의 비율
➔ P/EBITDAPS(TTM, 저가) : 해당일자의 저가 대 직전 4분기 주당 EBITDA의 비율
➔ P/EBITDA2PS : 해당일자의 종가 대 주당 EBITDA2의 비율
➔ P/EBITDA2PS (고가) : 해당일자의 고가 대 주당 EBITDA2의 비율
➔ P/EBITDA2PS (저가) : 해당일자의 저가 대 주당 EBITDA2의 비율
➔ P/EBITDA2PS(TTM) : 해당일자의 종가 대 직전 4분기 주당 EBITDA2의 비율
➔ P/EBITDA2PS(TTM, 고가) : 해당일자의 고가 대 직전 4분기 주당 EBITDA2의 비율
➔ P/EBITDA2PS(TTM, 저가) : 해당일자의 저가 대 직전 4분기 주당 EBITDA2의 비율
➔ P/FCFPS-I : 해당일자의 종가 대 주당잉여현금흐름의 비율
➔ P/FCFPS-II : 해당일자의 종가 / FCFPS-II
➔ P/FCFPS-II (TTM) : 해당일자의 종가 / FCFPS-II
➔ P/FCFPS-III : 해당일자의 종가 / FCFPS-II
➔ P/FCFPS-III (TTM) : 해당일자의 종가 / FCFPS-II
➔ 현금배당수익률 : ( 보통주현금배당금 + 우선주배당금 ) / 해당일자 종가
가치지표-가격지표정보 관련 옵션
기간 : 조회하고자 하는 시작년도와 종료년도를 선택합니다.
결산 : 조회할 시점을 결산, 반기, 1분기, 3분기 중 선택합니다.
항목은 다음과 같은 계정으로 이루어졌습니다.
➔ 기말종가 : 마지막 영업일의 종가
➔ 기말종가(수정) : 현재 기준 액면계수를 반영한 마지막 영업일의 종가
➔ 최고주가 : 기간중 최고 고가
➔ 최고주가(수정) : 최고주가 * 액면계수
➔ 최저주가 : 기간중 최저 저가
➔ 최저주가(수정) : 최저주가 * 액면계수
➔ 평균종가 : 기간중 종가 의 평균
➔ 평균종가(수정) : 평균종가 * 액면계수
➔ 최고종가 : 기간중 최고 종가
➔ 최고종가(수정) : 최고종가 * 액면계수
➔ 최저종가 : 기간중 최저 종가
➔ 최저종가(수정) : 최저종가 * 액면계수
➔ 기말수정주가 : 마지막영업일의 수정주가
➔ 평균수정주가 : 기간중 수정주가의 평균
➔ 최고수정종가 : 기간중 최고 수정주가
➔ 최저수정종가 : 기간중 최저 수정주가
➔ 액면가 : 기간 마지막 영업일자의 액면가
➔ 액면비율 : 해당일자 액면비율
➔ 기말주가(우선주1) : 첫번째 우선주의 마지막영업일 종가 * 보통주를 제외한 종목코드 순으로 첫번때 우선주를 우선주1로 칭함 * 1우선주 상장페지 후 2우선주만 상장된 경우에도 우선주1로 설정됨
➔ 기말주가(우선주, 수정) : 첫번째 우선주의 마지막영업일 종가 * 액면계수
➔ 기말주가(우선주2) : 두번쨰 우선주의 마지막영업일 종가
➔ 기말주가(우선주2, 수정) : 두번쨰 우선주의 마지막영업일 종가 * 액면계수
➔ 기말주가(우선주3) : 세번째 우선주의 마지막영업일 종가
➔ 기말주가(우선주3, 수정) : 세번째 우선주의 마지막영업일 종가 * 액면계수
➔ 기말주가(우선주4) : 네번째 우선주의 마지막영업일 종가
➔ 기말주가(우선주4, 수정) : 네번째 우선주의 마지막영업일 종가 * 액면계수
➔ 기말주가(우선주5) : 다섯번째 우선주의 마지막영업일 종가
➔ 기말주가(우선주5, 수정) : 다섯번째 우선주의 마지막영업일 종가 * 액면계수
➔ 기말주가(우선주6) : 여섯번째 우선주의 마지막영업일 종가
➔ 기말주가(우선주6, 수정) : 여섯번째 우선주의 마지막영업일 종가 * 액면계수
➔ 기말주가(우선주7) : 일곱번째 우선주의 마지막영업일 종가
➔ 기말주가(우선주7, 수정) : 일곱번째 우선주의 마지막영업일 종가 * 액면계수
➔ 기말주가(우선주8) : 여덟번째 우선주의 마지막영업일 종가
➔ 기말주가(우선주8, 수정) : 여덟번째 우선주의 마지막영업일 종가 * 액면계수
➔ 기말주가(우선주9) : 아홉번째 우선주의 마지막영업일 종가
➔ 기말주가(우선주9, 수정) : 아홉번째 우선주의 마지막영업일 종가 * 액면계수
➔ 최고주가(우선주1) : 첫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최고 고가
➔ 최고주가(우선주1, 수정) : 첫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최고 고가 * 액면계수
➔ 최고주가(우선주2) : 두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최고 고가
➔ 최고주가(우선주2, 수정) : 두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최고 고가 * 액면계수
➔ 최고주가(우선주3) : 세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최고 고가
➔ 최고주가(우선주3, 수정) : 세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최고 고가 * 액면계수
➔ 최고주가(우선주4) : 네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최고 고가
➔ 최고주가(우선주4, 수정) : 네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최고 고가 * 액면계수
➔ 최고주가(우선주5) : 다섯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최고 고가
➔ 최고주가(우선주5, 수정) : 다섯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최고 고가 * 액면계수
➔ 최고주가(우선주6) : 여섯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최고 고가
➔ 최고주가(우선주6, 수정) : 여섯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최고 고가 * 액면계수
➔ 최고주가(우선주7) : 일곱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최고 고가
➔ 최고주가(우선주7, 수정) : 일곱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최고 고가 * 액면계수
➔ 최고주가(우선주8) : 여덟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최고 고가
➔ 최고주가(우선주8, 수정) : 여덟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최고 고가 * 액면계수
➔ 최고주가(우선주9) : 아홉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최고 고가
➔ 최고주가(우선주9, 수정) : 아홉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최고 고가 * 액면계수
➔ 최저주가(우선주1) : 첫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최저 저가
➔ 최저주가(우선주1, 수정) : 첫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최저 저가 * 액면계수
➔ 최저주가(우선주2) : 두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최저 저가
➔ 최저주가(우선주2, 수정) : 두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최저 저가 * 액면계수
➔ 최저주가(우선주3) : 세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최저 저가
➔ 최저주가(우선주3, 수정) : 세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최저 저가 * 액면계수
➔ 최저주가(우선주4) : 네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최저 저가
➔ 최저주가(우선주4, 수정) : 네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최저 저가 * 액면계수
➔ 최저주가(우선주5) : 다섯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최저 저가
➔ 최저주가(우선주5, 수정) : 다섯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최저 저가 * 액면계수
➔ 최저주가(우선주6) : 여섯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최저 저가
➔ 최저주가(우선주6, 수정) : 여섯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최저 저가 * 액면계수
➔ 최저주가(우선주7) : 일곱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최저 저가
➔ 최저주가(우선주7, 수정) : 일곱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최저 저가 * 액면계수
➔ 최저주가(우선주8) : 여덟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최저 저가
➔ 최저주가(우선주8, 수정) : 여덟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최저 저가 * 액면계수
➔ 최저주가(우선주9) : 아홉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최저 저가
➔ 최저주가(우선주9, 수정) : 아홉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최저 저가 * 액면계수
➔ 평균종가(우선주1) : 첫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종가의 평균
➔ 평균종가(우선주1, 수정) : 첫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종가의 평균 * 액면계수
➔ 평균종가(우선주2) : 두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종가의 평균
➔ 평균종가(우선주2, 수정) : 두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종가의 평균 * 액면계수
➔ 평균종가(우선주3) : 세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종가의 평균
➔ 평균종가(우선주3, 수정) : 세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종가의 평균 * 액면계수
➔ 평균종가(우선주4) : 네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종가의 평균
➔ 평균종가(우선주4, 수정) : 네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종가의 평균 * 액면계수
➔ 평균종가(우선주5) : 다섯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종가의 평균
➔ 평균종가(우선주5, 수정) : 다섯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종가의 평균 * 액면계수
➔ 평균종가(우선주6) : 여섯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종가의 평균
➔ 평균종가(우선주6, 수정) : 여섯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종가의 평균 * 액면계수
➔ 평균종가(우선주7) : 일곱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종가의 평균
➔ 평균종가(우선주7, 수정) : 일곱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종가의 평균 * 액면계수
➔ 평균종가(우선주8) : 여덟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종가의 평균
➔ 평균종가(우선주8, 수정) : 여덟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종가의 평균 * 액면계수
➔ 평균종가(우선주9) : 아홉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종가의 평균
➔ 평균종가(우선주9, 수정) : 아홉번째 우선주의 기간 중 종가의 평균 * 액면계수
➔ 기말시가총액 : 마지막 영업일의 시가총액
➔ 최고시가총액 : 기간 중 최고 시가총액(고가*발행주식수)
➔ 최저시가총액 : 기간 중 최저 시가총액(저가*발행주식수)
➔ 평균시가총액 : 기간 중 평균 시가총액(평균종가*발행주식수)
➔ 기말외국인보유율 : 마지막 영업일의 외국인 보유율
➔ 평균외국인보유율 : 기간 중 평균 외국인 보유율
➔ 기말시가총액(우선주합계) : 마지막 영업일의 전체 우선주의 시가총액 합
➔ 기말시가총액(우선주1) : 마지막 영업일의 1우선주의 시가총액
➔ 기말시가총액(우선주2) : 마지막 영업일의 2우선주의 시가총액
➔ 기말시가총액(우선주3) : 마지막 영업일의 3우선주의 시가총액
➔ 기말시가총액(우선주4) : 마지막 영업일의 4우선주의 시가총액
➔ 기말시가총액(우선주5) : 마지막 영업일의 5우선주의 시가총액
➔ 기말시가총액(우선주6) : 마지막 영업일의 6우선주의 시가총액
➔ 기말시가총액(우선주7) : 마지막 영업일의 7우선주의 시가총액
➔ 기말시가총액(우선주8) : 마지막 영업일의 8우선주의 시가총액
➔ 기말시가총액(우선주9) : 마지막 영업일의 9우선주의 시가총액
➔ 최고시가총액(우선주합계) : 기간 중 우선주합산 최고시가총액(종가*주식수)
➔ 최고시가총액(우선주1) : 기간 중 1우선주 최고시가총액(종가*주식수)
➔ 최고시가총액(우선주2) : 기간 중 2우선주 최고시가총액(종가*주식수)
➔ 최고시가총액(우선주3) : 기간 중 3우선주 최고시가총액(종가*주식수)
➔ 최고시가총액(우선주4) : 기간 중 4우선주 최고시가총액(종가*주식수)
➔ 최고시가총액(우선주5) : 기간 중 5우선주 최고시가총액(종가*주식수)
➔ 최고시가총액(우선주6) : 기간 중 6우선주 최고시가총액(종가*주식수)
➔ 최고시가총액(우선주7) : 기간 중 7우선주 최고시가총액(종가*주식수)
➔ 최고시가총액(우선주8) : 기간 중 8우선주 최고시가총액(종가*주식수)
➔ 최고시가총액(우선주9) : 기간 중 9우선주 최고시가총액(종가*주식수)
➔ 최저시가총액(우선주합계) : 기간 중 우선주합산 최저시가총액(종가*주식수)
➔ 최저시가총액(우선주1) : 기간 중 1우선주 최저시가총액(종가*주식수)
➔ 최저시가총액(우선주2) : 기간 중 2우선주 최저시가총액(종가*주식수)
➔ 최저시가총액(우선주3) : 기간 중 3우선주 최저시가총액(종가*주식수)
➔ 최저시가총액(우선주4) : 기간 중 4우선주 최저시가총액(종가*주식수)
➔ 최저시가총액(우선주5) : 기간 중 5우선주 최저시가총액(종가*주식수)
➔ 최저시가총액(우선주6) : 기간 중 6우선주 최저시가총액(종가*주식수)
➔ 최저시가총액(우선주7) : 기간 중 7우선주 최저시가총액(종가*주식수)
➔ 최저시가총액(우선주8) : 기간 중 8우선주 최저시가총액(종가*주식수)
➔ 최저시가총액(우선주9) : 기간 중 9우선주 최저시가총액(종가*주식수)
➔ 평균시가총액(우선주합계) : 기간 중 우선주합산 시가총액의 평균
➔ 평균시가총액(우선주1) : 기간 중 1우선주 평균시가총액(종가*주식수)
➔ 평균시가총액(우선주2) : 기간 중 2우선주 평균시가총액(종가*주식수)
➔ 평균시가총액(우선주3) : 기간 중 3우선주 평균시가총액(종가*주식수)
➔ 평균시가총액(우선주4) : 기간 중 4우선주 평균시가총액(종가*주식수)
➔ 평균시가총액(우선주5) : 기간 중 5우선주 평균시가총액(종가*주식수)
➔ 평균시가총액(우선주6) : 기간 중 6우선주 평균시가총액(종가*주식수)
➔ 평균시가총액(우선주7) : 기간 중 7우선주 평균시가총액(종가*주식수)
➔ 평균시가총액(우선주8) : 기간 중 8우선주 평균시가총액(종가*주식수)
➔ 평균시가총액(우선주9) : 기간 중 9우선주 평균시가총액(종가*주식수)
➔ 기말외국인보유율(우선주평균): 마지막 영업의 외국인보유율 우선주평균
➔ 기말외국인보유율(우선주1) : 마지막 영업의 1우선주의 외국인보유율
➔ 기말외국인보유율(우선주2) : 마지막 영업의 2우선주의 외국인보유율
➔ 기말외국인보유율(우선주3) : 마지막 영업의 3우선주의 외국인보유율
➔ 기말외국인보유율(우선주4) : 마지막 영업의 4우선주의 외국인보유율
➔ 기말외국인보유율(우선주5) : 마지막 영업의 5우선주의 외국인보유율
➔ 기말외국인보유율(우선주6) : 마지막 영업의 6우선주의 외국인보유율
➔ 기말외국인보유율(우선주7) : 마지막 영업의 7우선주의 외국인보유율
➔ 기말외국인보유율(우선주8) : 마지막 영업의 8우선주의 외국인보유율
➔ 기말외국인보유율(우선주9) : 마지막 영업의 9우선주의 외국인보유율
➔ 평균외국인보유율(우선주합계): 기간 중 전체 우선주의 외국인보유율 평균
➔ 평균외국인보유율(우선주1) : 기간 중 1우선주의 외국인보유율 평균
➔ 평균외국인보유율(우선주2) : 기간 중 2우선주의 외국인보유율 평균
➔ 평균외국인보유율(우선주3) : 기간 중 3우선주의 외국인보유율 평균
➔ 평균외국인보유율(우선주4) : 기간 중 4우선주의 외국인보유율 평균
➔ 평균외국인보유율(우선주5) : 기간 중 5우선주의 외국인보유율 평균
➔ 평균외국인보유율(우선주6) : 기간 중 6우선주의 외국인보유율 평균
➔ 평균외국인보유율(우선주7) : 기간 중 7우선주의 외국인보유율 평균
➔ 평균외국인보유율(우선주8) : 기간 중 8우선주의 외국인보유율 평균
➔ 평균외국인보유율(우선주9) : 기간 중 9우선주의 외국인보유율 평균
➔ 기말시가총액(보통주+우선주): 마지막 영업일의 보통주와 우선주의 시가총액 합
➔ 최고시가총액(보통주+우선주): 기간 중 보통주시가총액과 우선주시가총액의 합 중 최고값
➔ 최저시가총액(보통주+우선주): 기간 중 보통주시가총액과 우선주시가총액의 합 중 최저값
➔ 평균시가총액(보통주+우선주): 기간 중 보통주시가총액과 우선주시가총액의 합의 평균값
➔ 기말외국인보유율(보통주+우선:주) 마지막 영업일의 보통주외국인 보유율과 우선주 전체 평균 외국인보유율의 합
➔ 평균외국인보유율(보통주+우선:주) 기간 중 평균 외국인 보유율
➔ 코스피대베타 : 코스피지수 대비 베타(1년)
➔ 코스닥대베타 : 코스닥지수 대비 베타(1년)
➔ 업종대베타 : 소분류 소속 업종지수 대비 베타(1년)
➔ EWI대베타 : EWI지수수익률 대비 베타(1년)
➔ Volatility : 변동성
가치지표 - 주식수지표관련 옵션
기간 : 조회하고자 하는 시작년도와 종료년도를 선택합니다.
결산 : 조회할 시점을 결산, 반기, 1분기, 3분기 중 선택합니다.
항목은 다음과 같은 계정으로 이루어졌습니다.
➔ 평균발행주식수(보통주, 공시) : 직전 결산 공시상의 평균발행주식수
➔ 기말자기주식수(보통주) : 직전 결산 공시상의 기말자기주식수
➔ 기말자기주식수(보통주, 수정) : 액면계수 반영 직전 결산 공시상의 기말자기주식수
➔ 상장주식수(보통주) : 마지막 영업일의 상장주식수
➔ 상장주식수(보통주, 수정) : 액면계수 반영 마지막 영업일의 상장주식수
➔ 기말발행주식수(보통주) : 직전 결산 공시상의 기말발행주식수
➔ 기말발행주식수(보통주, 수정) : 액면계수 반영 기말발행주식수(공시)
➔ 기말발행주식수(보통주,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기말발행주식수(공시)
➔ 기말발행주식수(보통주, 자사주차감) : 자사주 차감 보통주기말발행주식수
➔ 기말발행주식수(보통주, 자사주차감, 수정) : 액면계수 반영한 자사주 차감 보통주기발행주식수
➔ 기말발행주식수(보통주, 자사주차감, 기준액면) : 기준액면으로 환산한 자사주 차감 보통주기발행주식수
➔ 기말외국인보유주식수(보통주) : 마지막 영업일의 외국인 보유주식수
➔ 평균외국인보유주식수(보통주) : 기간 중 평균 외국인 보유주식수
➔ 기말외국인보유주식수(우선주합계) : 마지막 영업일의 외국인 보유주식수
➔ 평균외국인보유주식수(우선주합계) : 기간 중 평균 외국인 보유주식수
➔ 평균발행주식수(보통주) : 직전 결산일 다음날 기준으로 해당일까지의 일수가중평균발행주식수
➔ 평균발행주식수(보통주,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일수평균발행주식수
➔ 평균발행주식수(보통주,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일수가중평균발행주식수
➔ 평균발행주식수(보통주, 자사주차감) : 기말자기주식수를 차감한 일수가중평균발행주식수
➔ 평균발행주식수(보통주, 자사주차감,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자사주 차감 일수평균발행주식수
➔ 평균발행주식수(보통주, 자사주차감,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자사주 차감 일수가중평균발행주식수
➔ 평균발행주식수(보통주, TTM) : 최근4분기(기준일 이전 1년)를 기간으로 계산한 일수가중평균발행주식수
➔ 평균발행주식수(보통주, TTM,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일수평균발행주식수(TTM)
➔ 상장주식수(우선주합계) : 전체 우선주의 마지막 영업일 상장주식수의 합
➔ 상장주식수(우선주합계,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전체 우선주의 마지막 영업일 상장주식수의 합
➔ 상장주식수(우선주1) : 첫번째 우선주의 마지막 영업일 상장주식수
➔ 상장주식수(우선주1,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 첫번째 우선주의 마지막 영업일 상장주식수
➔ 상장주식수(우선주2) : 두번째 우선주의 마지막 영업일 상장주식수
➔ 상장주식수(우선주2,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 두번째 우선주의 마지막 영업일 상장주식수
➔ 상장주식수(우선주3) : 세번째 우선주의 마지막 영업일 상장주식수
➔ 상장주식수(우선주3,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 세번째 우선주의 마지막 영업일 상장주식수
➔ 상장주식수(우선주4) : 네번째 우선주의 마지막 영업일 상장주식수
➔ 상장주식수(우선주4,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 네번째 우선주의 마지막 영업일 상장주식수
➔ 상장주식수(우선주5) : 다섯번째 우선주의 마지막 영업일 상장주식수
➔ 상장주식수(우선주5,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 다섯번째 우선주의 마지막 영업일 상장주식수
➔ 상장주식수(우선주6) : 여섯번째 우선주의 마지막 영업일 상장주식수
➔ 상장주식수(우선주6,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 여섯번째 우선주의 마지막 영업일 상장주식수
➔ 상장주식수(우선주7) : 일곱번째 우선주의 마지막 영업일 상장주식수
➔ 상장주식수(우선주7,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 일곱번째 우선주의 마지막 영업일 상장주식수
➔ 상장주식수(우선주8) : 여덟번째 우선주의 마지막 영업일 상장주식수
➔ 상장주식수(우선주8,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 여덟번째 우선주의 마지막 영업일 상장주식수
➔ 상장주식수(우선주9) : 아홉번째 우선주의 마지막 영업일 상장주식수
➔ 상장주식수(우선주9,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아홉번째 우선주의 마지막 영업일 상장주식수
➔ 상장주식수(보통주+우선주) : 마지막 영업일의 보통주와 우선주 전체 상장주식수의 합
➔ 상장주식수(보통주+우선주,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보통주와 우선주 전체의 상장주식수 합
➔ 상장주식수 증감(보통주) : 전년 동기 대비 보통주 상장주식수 변동값
➔ 상장주식수 증감(보통주, 수정) : 전년 동기 대비 액면계수를 반영한 보통주 상장주식수 변동값
➔ 상장주식수 증감(우선주) : 전년 동기 대비 우선주 상장주식수 변동값
➔ 상장주식수 증감(우선주, 수정) : 전년 동기 대비 액면계수를 반영한 우선주 상장주식수 변동값
➔ 상장주식수 증감(보통주+우선주) : 전년 동기 대비 보통주와 우선주 상장주식수 변동값의 합
➔ 상장주식수 증감(보통주+우선주, 수정) : 전년 동기 대비 액면계수를 반영한 보통주와 우선주 상장주식수 변동값의 합
➔ 기말발행주식수(우선주) : 우선주기말발행주식수
➔ 기말발행주식수(우선주,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공시 기말발행주식수
➔ 기말발행주식수(우선주,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로 환산한 우선주 기말발행주식수
➔ 기말발행주식수(우선주, 자사주차감) : 자사주 차감 기말발행주식수
➔ 기말발행주식수(우선주, 자사주차감, 수정) : 624060 * 액면계수
➔ 기말발행주식수(우선주, 자사주차감, 기준액면) : 624060 * (액면가/5000)
➔ 기말자기주식수(우선주) : 우선주 자기주식수
➔ 기말자기주식수(우선주,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우선주 자기주식수
➔ 기말자기주식수(보통주+우선주) : 보통주 기말자기주식수와 우선주 기말자기주식수의 합
➔ 기말자기주식수(보통주+우선주, 수정) : 전년 동기 대비 보통주 기말자기주식수 변동값
➔ 기말자기주식수 증감(보통주) : 전년 동기 대비 보통주 기말자기주식수 변동값
➔ 기말자기주식수 증감(보통주, 수정) : 전년 동기 대비 보통주 기말자기주식수 변동값
➔ 기말자기주식수 증감(우선주) : 전년 동기 대비 우선주 기말자기주식수 변동값
➔ 기말자기주식수 증감(우선주, 수정) : 전년 동기 대비 우선주 기말자기주식수 변동값
➔ 기말자기주식수 증감(보통주+우선주) : 전년 동기 대비 보통주와 우선주 기말자기주식수 변동값의 합
➔ 기말자기주식수 증감(보통주+우선주, 수정) : 전년 동기 대비 보통주와 우선주 기말자기주식수 변동값의 합
➔ 평균발행주식수(우선주) : 우선주의 일수가중평균발행주식수
➔ 평균발행주식수(우선주,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우선주일수가중평균발행주식수
➔ 평균발행주식수(우선주,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우선주 일수가중평균발행주식수
➔ 평균발행주식수(우선주, 자사주차감) : 우선주자기주식수를 차감한 일수가중평균발행주식수
➔ 평균발행주식수(우선주, 자사주차감,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우선주 자사주 차감 일수가중평균발행주식수
➔ 평균발행주식수(우선주, 자사주차감,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로 환산한 우선주 자사주 일수가중평균발행주식수
➔ 평균발행주식수(우선주, TTM) : 최근4분기(기준일 이전 1년)를 기간으로 계산한 일수가중평균발행주식수
➔ 평균발행주식수(우선주, TTM,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일수평균발행주식수(TTM)
➔ 기말발행주식수(보통주+우선주) : 보통주 기말발행주식수와 우선주 기말발행주식수의 합
➔ 기말발행주식수(보통주+우선주,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보통주 기말발행주식수와 우선주 기말발행주식수의 합
➔ 기말발행주식수(보통주+우선주,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로 환산한 보통주 기말발행주식수와 우선주 기말발행주식수의 합
➔ 기말발행주식수(보통주+우선주, 자사주차감) : 자사주를 차감한 보통주 기말발행주식수와 우선주 기말발행주식수의 합
➔ 기말발행주식수(보통주+우선주, 자사주차감,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자사주 차감 보통주, 우선주 기말발행주식수의 합
➔ 기말발행주식수(보통주+우선주, 자사주차감,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로 환산한 자사주 차감 보통주, 우선주 기말발행주식수의 합
➔ 기말발행주식수 증감(보통주) : 전년 동기 대비 보통주 기말발행주식수 변동값
➔ 기말발행주식수 증감(보통주, 수정) : 전년 동기 대비 보통주 기말발행주식수 변동값
➔ 기말발행주식수 증감(우선주) : 전년 동기 대비 우선주 기말발행주식수 변동값
➔ 기말발행주식수 증감(우선주, 수정) : 전년 동기 대비 우선주 기말발행주식수 변동값
➔ 기말발행주식수 증감(보통주+우선주) : 전년 동기 대비 보통주와 우선주 기말발행주식수 변동값의 합
➔ 기말발행주식수 증감(보통주+우선주, 수정) : 전년 동기 대비 보통주와 우선주 기말발행주식수 변동값의 합
➔ 평균발행주식수(보통주+우선주) : 보통주와 우선주의 일수가중평균발행주식수의 합
➔ 평균발행주식수(보통주+우선주,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보통주와 우선주의 일수가중평균발행주식수의 합
➔ 평균발행주식수(보통주+우선주,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로 환산한 보통주와 우선주의 일수가중평균발행주식수의 합
➔ 평균발행주식수(보통주+우선주, 자사주차감) : 자사주를 차감한 보통주와 우선주의 일수가중평균발행주식수의 합
➔ 평균발행주식수(보통주+우선주, 자사주차감,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자사주차감 보통주, 우선주 일수가중평균발행주식수의 합
➔ 평균발행주식수(보통주+우선주, 자사주차감,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로 환산한 자사주차감 보통주, 우선주 일수가중평균발행주식수의 합
➔ 평균발행주식수(보통주+우선주, TTM) : 최근4분기(기준일 이전 1년)를 기간으로 계산한 보통주, 우선주 일수가중평균발행주식수의 합
➔ 평균발행주식수(보통주+우선주, TTM,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보통주, 우선주 일수가중평균발행주식수(TTM)의 합
➔ 평균발행주식수 증감(보통주) : 전년 동기 대비 보통주 평균발행주식수 변동값
➔ 평균발행주식수 증감(보통주, 수정) : 전년 동기 대비 보통주 평균발행주식수 변동값
➔ 평균발행주식수 증감(우선주) : 전년 동기 대비 우선주 평균발행주식수 변동값
➔ 평균발행주식수 증감(우선주, 수정) : 전년 동기 대비 우선주 평균발행주식수 변동값
➔ 평균발행주식수 증감(보통주+우선주) : 전년 동기 대비 보통주와 우선주 평균발행주식수 변동값의 합
➔ 평균발행주식수 증감(보통주+우선주, 수정) : 전년 동기 대비 보통주와 우선주 평균발행주식수 변동값의 합
가치지표 - 투자지표관련 옵션
기간 : 조회하고자 하는 시작년도와 종료년도를 선택합니다.
결산 : 조회할 시점을 결산, 반기, 1분기, 3분기 중 선택합니다.
항목은 다음과 같은 계정으로 이루어졌습니다.
➔ EPS-I (평균발행주식수) : 공시 당기순이익(12-9000)값을 일수가중평균발행주식수로 나눈 EPS * IFRS 연결인 경우 당기순이익지배기업지분(12-9061)을 사용
➔ EPS-I (평균발행주식수,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EPS-I
➔ EPS-I (평균발행주식수,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로 환산한 EPS-I
➔ EPS-I (평균발행주식수, 연환산) : 12개월 당기순이익으로 단순 환산한 EPS-I
➔ EPS-II (공시) : 공시 보고서상의 주당순이익 (129009) (=s_ga121.eps)
➔ EPS-II (공시,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EPS-II
➔ EPS-II (공시,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로 환산한 EPS-II
➔ EPS-II (공시, 연환산) : 12개월 당기순이익으로 단순 환산한 EPS-II
➔ EPS-III (평균발행주식수, 우선주배당제외) : 우선배당을 제외한 당기순이익( (12-9000) - (13-6301) )을 보통주평균발행주식수로 나눈 값 * IFRS 연결인 경우 당기순이익지배기업지분(129061)을 사용
➔ EPS-III (평균발행주식수, 우선주배당제외,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EPS-III
➔ EPS-III (평균발행주식수, 우선주배당제외,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로 환산한 EPS-III
➔ EPS-III (평균발행주식수, 우선주배당제외, 연환산) : 12개월 당기순이익으로 단순 환산한 EPS-III
➔ EPS-IV (기말발행주식수, 우선주배당제외): 우선배당을 제외한 당기순이익( (12-9000) - (13-6301) )을 기말발행주식수(11-9009)로 나눈 값 * IFRS 연결인 경우 당기순이익지배기업지분(12-9061)을 사용
➔ EPS-IV (기말발행주식수, 우선주배당제외, 수정): 액면계수를 반영한 EPS-IV
➔ EPS-IV (기말발행주식수, 우선주배당제외,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로 환산한 EPS-IV
➔ EPS-IV (기말발행주식수, 우선주배당제외, 연환산) : 12개월 당기순이익으로 단순 환산한 EPS-IV
➔ EPS-V (보통주, 자사주차감): 당기순이익(12-9000)을 자사주차감 평균발행주식수로 나눈값 * IFRS 연결인 경우 당기순이익지배기업지분(129061)을 사용
➔ EPS-V (보통주, 자사주차감,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 EPS-V (보통주, 자사주차감,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로 환산한
➔ EPS-V (보통주, 자사주차감, 연환산) : 12개월 당기순이익으로 단순 환산한 EPS-V
➔ EPS-VI (총당기순이익) : IFRS 연결인 경우에 한해 총당기순이익(12-8200)을 일수가중평균발행주식수로 나눈 값
➔ EPS-VI (총당기순이익,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EPS-VI
➔ EPS-VI (총당기순이익,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로 환산한 EPS-VI
➔ EPS-VI (총당기순이익, 연환산) : 12개월 당기순이익으로 단순 환산한 EPS-VI
➔ EPS-VII (총당기순이익, 우선주배당제외): IFRS 연결인 경우에 한해 우선배당을 제외한 총당기순이익( (12-8200) - (13-6301) )을 일수가중 평균발행주식수로 나눈 값
➔ EPS-VII (총당기순이익, 우선주배당제외, 수정): 액면계수를 반영한 EPS-VII
➔ EPS-VII (총당기순이익, 우선주배당제외,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로 환산한 EPS-VII
➔ EPS-VII (총당기순이익, 우선주배당제외, 연환산) : 12개월 당기순이익으로 단순 환산한 EPS-VII
➔ EPS-VIII (계속사업손익) : (12-8160) / 일가평발주(보+우)
➔ EPS-VIII (계속사업손익,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EPS-VIII
➔ EPS-VIII (계속사업손익,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로 환산한 EPS-VIII
➔ EPS-VIII (계속사업손익, 연환산) : 12개월 당기순이익으로 단순 환산한 EPS-VIII
➔ EPS-I (TTM) : 최근 4분기의 당기순이익을 최근4분기 일수가중평균발행주식수로 나눈값 * IFRS 연결인 경우 당기순이익지배기업지분(12-9061)을 사용
➔ 희석EPS : 공시 희석EPS 값 (=s_ga121.dlt_eps)
➔ EPS-I 증가율(YoY): 전기EPS 대비 당기EP 증가율
➔ EPS-I 증가율(QoQ): 전분기EPS 대비 당분기EP 증가율
➔ EPS-I 증가율(3년) : 3년 전 EPS 대비 EPS-I의 년간 증가율 * 계산예 1 - 매년 100% 증가하여 100원 -> 200원 -> 400원 -> 800원이 된 경우 - 년간증가율 = (800 / 100) ^ (1/3) - 1 = 0.99999 * 계산예 2 - 매년 10% 감소하여 100원 -> 90원 -> 81원 -> 73원이 된 경우 - 년간증가율 = (73 / 100) ^ (1/3) - 1 = -0.0995887
➔ EPS-I 증가율(5년) : 4년 전 대비 EPS-I의 년간증가율* 631130 계산 예 참고
➔ EPS-I 증가율(3분기): 3분기 전 대비 EPS-I의 분기간 증가율* 631130 계산 예 참고
➔ EPS-I (3년평균) : EPS-I의 3년 평균 값
➔ EPS-I (5년평균) : EPS-I의 5년 평균 값
➔ EPS (TTM)(YoY): 최근 4분기 공시로 계산한 EPS와 전년 동기기간의 EPS 값의 변화율
➔ P/E : 기말종가와 EPS-I의 비율 값
➔ P/E (연환산) : 기말종가와 연환산 EPS-I의 비율 값
➔ P/E(고가) : 최고주가와 EPS-I의 비율 값
➔ P/E(저가) : 최저주가와 EPS-I의 비율 값
➔ P/E(평균가) : 평균종가와 EPS-I의 비율 값
➔ P/E II: 기말종가와 EPS-II의 비율 값
➔ P/E II (연환산) : 기말종가와 연환산 EPS-II의 비율 값
➔ P/E(고가) II: 최고주가와 EPS-II의 비율 값
➔ P/E(저가) II: 최저주가와 EPS-II의 비율 값
➔ P/E(평균가) II : 평균종가와 EPS-II의 비율 값
➔ P/E III : 기말종가와 EPS-III의 비율 값
➔ P/E III (연환산) : 기말종가와 연환산 EPS-III의 비율 값
➔ P/E(고가) III : 최고주가와 EPS-III의 비율 값
➔ P/E(저가) III : 최저주가와 EPS-III의 비율 값
➔ P/E(평균가) III : 평균종가와 EPS-III의 비율 값
➔ P/E IV: 기말종가와 EPS-IV의 비율 값
➔ P/E IV (연환산) : 기말종가와 연환산 EPS-IV의 비율 값
➔ P/E(고가) IV: 최고주가와 EPS-IV의 비율 값
➔ P/E(저가) IV: 최저주가와 EPS-IV의 비율 값
➔ P/E(평균가) IV : 평균종가와 EPS-IV의 비율 값
➔ P/E V : 기말종가와 EPS-V의 비율 값
➔ P/E V (연환산) : 기말종가와 연환산 EPS-V의 비율 값
➔ P/E(고가) V : 최고주가와 EPS-V의 비율 값
➔ P/E(저가) V : 최저주가와 EPS-V의 비율 값
➔ P/E(평균가) V: 평균종가와 EPS-V의 비율 값
➔ P/E VI: 기말종가와 EPS-VI의 비율 값
➔ P/E VI (연환산) : 기말종가와 연환산 EPS-VI의 비율 값
➔ P/E(고가) VI: 최고주가와 EPS-VI의 비율 값
➔ P/E(저가) VI: 최저주가와 EPS-VI의 비율 값
➔ P/E(평균가) VI : 평균종가와 EPS-VI의 비율 값
➔ P/E VII : 기말종가와 EPS-VII의 비율 값
➔ P/E VII (연환산) : 기말종가와 연환산 EPS-VII의 비율 값
➔ P/E(고가) VII : 최고주가와 EPS-VII의 비율 값
➔ P/E(저가) VII : 최저주가와 EPS-VII의 비율 값
➔ P/E(평균가) VII : 평균종가와 EPS-VII의 비율 값
➔ P/E VIII : 기말종가와 EPS-VIII의 비율 값
➔ P/E VIII (연환산): 기말종가와 연환산 EPS-VIII의 비율 값
➔ P/E(고가) VIII : 최고주가와 EPS-VIII의 비율 값
➔ P/E(저가) VIII : 최저주가와 EPS-VIII의 비율 값
➔ P/E(평균가) VIII : 평균종가와 EPS-VIII의 비율 값
➔ PEG(기말, YoY) : P/E(PER) 값과 전년대비 EPS증가율의 비율 값
➔ PEG(기말, QoQ) : P/E 값과 전분기대비 EPS증가율의 비율 값
➔ PEG(고가, YoY) : P/E(고가) 값과 전년대비 EPS증가율의 비율 값
➔ PEG(고가, QoQ) : P/E(고가) 값과 전분기대비 EPS증가율의 비율 값
➔ PEG(저가, YoY) : P/E(저가) 값과 전년대비 EPS증가율의 비율 값
➔ PEG(저가, QoQ) : P/E(저가) 값과 전분기대비 EPS증가율의 비율 값
➔ PEG(평균, YoY) : P/E(평균가) 값과 전년대비 EPS증가율의 비율 값
➔ PEG(평균, QoQ) : P/E(평균가) 값과 전분기대비 EPS증가율의 비율 값
➔ BPS : 주당순자산가치, 자본총계를 발행주식수로 나눈 값 * 연결인 경우 지배기업지분을 사용
➔ BPS(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BPS
➔ BPS(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로 환산한 BPS
➔ BPS-II (기말발행주식수) : 주당순자산가치, 자본총계를 기말발행주식수로 나눈 값 * 연결인 경우 지배기업지분을 사용
➔ BPS-II (자사주포함, 수정): 액면계수를 반영한 BPS-II
➔ BPS-II (자사주포함,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로 환산한 BPS-II
➔ BPS-III (무형자산차감) : 주당순자산가치, 무형자산을 차감한 자본총계를 발행주식수로 나눈 값 * 연결인 경우 지배기업지분을 사용
➔ BPS-III (무형자산차감,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BPS-III
➔ BPS-III (무형자산차감,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로 환산한 BPS-III
➔ BPS-IV (무형자산차감, 기말발행주식수) : 주당순자산가치, 무형자산을 차감한 자본총계를 기말발행주식수로 나눈 값 * 연결인 경우 지배기업지분을 사용
➔ BPS-IV (무형자산차감, 기말발행주식수,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BPS-IV
➔ BPS-IV (무형자산차감, 기말발행주식수,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로 환산한 BPS-IV
➔ BPS증가율(YoY) : 전기BPS 대비 당기BPS 변화율
➔ BPS증가율(QoQ) : 전분기BPS 대비 당분기BPS 변화율
➔ P/B : 기말종가와 BPS-I의 비율 값
➔ P/B (최고) : 최고주가와 BPS-I의 비율 값
➔ P/B (최저) : 최저주가와 BPS-I의 비율 값
➔ P/B (평균) : 평균종가와 BPS-I의 비율 값
➔ P/B-II: 기말종가와 BPS-II의 비율 값
➔ P/B-II (최고) : 최고주가와 BPS-II의 비율 값
➔ P/B-II (최저) : 최저주가와 BPS-II의 비율 값
➔ P/B-II (평균) : 평균종가와 BPS-II의 비율 값
➔ P/B-III : 기말종가와 BPS-III의 비율 값
➔ P/B-III (최고) : 최고주가와 BPS-III의 비율 값
➔ P/B-III (최저) : 최저주가와 BPS-III의 비율 값
➔ P/B-III (평균) : 평균종가와 BPS-III의 비율 값
➔ P/B-IV: 기말종가와 BPS-III의 비율 값
➔ P/B-IV (최고) : 최고주가와 BPS-IV의 비율 값
➔ P/B-IV (최저) : 최저주가와 BPS-IV의 비율 값
➔ P/B-IV (평균) : 평균종가와 BPS-IV의 비율 값
➔ SPS : 주당매출액, 매출액을 평균발행주식수로 나눈 값
➔ SPS(수정) : 액면계수를 방영한 SPS (=s_ga107.adj_sps)
➔ SPS(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로 환산한 SPS
➔ SPS (연환산) : 12개월 매출액으로 단순 환산하여 산출한 SPS
➔ SPS-II (자사주차감): 매출액을 자사주 차감 평균발행주식수로 나눈 값
➔ SPS-II (자사주차감, 수정): 액면계수를 방영한 SPS-II
➔ SPS-II (자사주차감,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로 환산한 SPS-II
➔ SPS-II (연환산) : 12개월 매출액으로 단순 환산하여 산출한 SPS-II
➔ SPS-III (기말발행주식수) : 매출액을 기말발행주식수로 나눈 값
➔ SPS-III (기말발행주식수, 수정) : 액면계수를 방영한 SPS-III
➔ SPS-III (기말발행주식수,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로 환산한 SPS-III
➔ SPS-III (연환산) : 12개월 매출액으로 단순 환산하여 산출한 SPS-III
➔ SPS (TTM) : 최근 4분기의 매출액을 최근4분기 일수가중평균발행주식수로 나눈 값
➔ SPS (TTM, 수정) : 액면계수를 방영한 SPS(TTM)
➔ SPS증가율(YoY) : 전기SPS 대비 당기SPS의 증가율
➔ SPS증가율(QoQ) : 전분기SPS 대비 당분기SPS의 증가율
➔ P/S : 기말종가를 SPS-I이 비율 값
➔ P/S (최고) : 최고주가를 SPS-I이 비율 값
➔ P/S (최저) : 최저주가를 SPS-I이 비율 값
➔ P/S (평균) : 평균종가를 SPS-I이 비율 값
➔ P/S-II (자사주 차감) : 기말종가를 SPS-II이 비율 값
➔ P/S-II (자사주 차감, 최고) : 최고주가를 SPS-II이 비율 값
➔ P/S-II (자사주 차감, 최저) : 최저주가를 SPS-II이 비율 값
➔ P/S-II (자사주 차감, 평균) : 평균종가와 SPS-II의 비율 값
➔ P/S-III (기말발행주식수) : 기말종가와 SPS-II의 비율 값
➔ P/S-III (기말발행주식수, 최고) : 최고주가와 SPS-II의 비율 값
➔ P/S-III (기말발행주식수, 최저) : 최저주가와 SPS-II의 비율 값
➔ P/S-III (기말발행주식수, 평균) : 평균종가와 SPS-II의 비율 값
➔ P/S(TTM) : 기말종가와 최근 4분기의 매출액으로 계산한 SPS(TTM)와의 비율
➔ CPS : 영업활동으로인한현금흐름 값을 평균발행주식수로 나눈 값
➔ CPS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CPS (=adj_cfps)
➔ CPS (기준액면): 기준 액면가(5,000원)로 환산한 CPS
➔ CPS (연환산) : 12개월 영업활동으로인한현금흐름 값으로 단순 환산하여 산출한 CPS
➔ CPS-II (우선주배당차감) : 평균발행주식수 당 우선주배당금을 차감한 영업활동으로인한현금흐름 값
➔ CPS-II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CPS-II
➔ CPS-II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로 환산한 CPS-II
➔ CPS-III (우선주배당차감, 공시평균발행주식수) : 평균발행주식수 당 우선주배당금을 차감한 영업활동으로인한현금흐름 값
➔ CPS-III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CPS-III
➔ CPS-III (기준액면): 기준 액면가(5000원)로 환산한 CPS-III
➔ CPS-IV (우선주배당차감, 기말발행주식수): 기말주식수 당 우선주배당금을 차감한 영업활동으로인한현금흐름 값
➔ CPS-IV (우선주배당차감, 기말발행주식수, 수정): 액면계수를 반영한 CPS-IV
➔ CPS-IV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로 환산한 CPS-IV
➔ CPS-V (우선주배당, 자사주차감) : 기말주식수 당 우선주배당금을 차감한 영업활동으로인한현금흐름 값
➔ CPS-V (우선주배당, 자사주차감,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CPS-V
➔ CPS-V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로 환산한 CPS-V
➔ CPS (TTM) : 평균발행주식수 당 최근 4분기의 영업활동으로인한현금흐름 값의 비율
➔ P/C : 기말종가와 CPS의 비율 값
➔ P/C (연환산) : 기말종가와 CPS(연환산)으의 비율 값
➔ P/C (최고) : 최고주가와 CPS의 비율 값
➔ P/C (최저) : 최저주가와 CPS의 비율 값
➔ P/C (평균) : 평균종가와 CPS의 비율 값
➔ P/C-II: 기말종가와 CPS-II의 비율 값
➔ P/C-II (최고) : 최고주가와 CPS-II의 비율 값
➔ P/C-II (최저) : 최저주가와 CPS-II의 비율 값
➔ P/C-II (평균) : 평균종가와 CPS-II의 비율 값
➔ P/C-III : 기말종가와 CPS-III의 비율 값
➔ P/C-III (최고) : 최고주가와 CPS-III의 비율 값
➔ P/C-III (최저) : 최저주가와 CPS-III의 비율 값
➔ P/C-III (평균) : 평균종가와 CPS-III의 비율 값
➔ P/C-IV: 기말종가와 CPS-IV의 비율 값
➔ P/C-IV (최고) : 최고주가와 CPS-IV의 비율 값
➔ P/C-IV (최저) : 최저주가와 CPS-IV의 비율 값
➔ P/C-IV (평균) : 평균종가와 CPS-IV의 비율 값
➔ P/C-V : 기말종가와 CPS-V의 비율 값
➔ P/C-V (최고): 최고주가와 CPS-V의 비율 값
➔ P/C-V (최저): 최저주가와 CPS-V의 비율 값
➔ P/C-V (평균): 평균종가와 CPS-V의 비율 값
➔ P/C(TTM) : 기말종가와 CPS(TTM)의 비율 값
➔ CPS 증가율(YoY) : 전기CPS 대비 당기CPS 변화율
➔ CPS 증가율(QoQ) : 전분기CPS 대비 당분기CPS 변화율
➔ CPS-II 증가율(YoY) : 전기CPS-II 대비 당기CPS-II 변화율
➔ CPS-II 증가율(QoQ) : 전분기CPS-II 대비 당분기CPS-II 변화율
➔ CE: 평균발행주식수 당 당기순이익와 감가상각비 합의 값 * 연결인 경우 총당기순이익 계정 사용
➔ CE-II (자사주차감) : 연결인 경우, 당기순이익지배기업지분과 총가각상각비와 평균발행주식수의 비율
➔ CE-III (지배기업지분) : 평균발행주식수 당 당기순이익지배기업지분과 감가상각비 합 * 연결
➔ CE-IV (지배기업지분, 자사주차감) : 연결인 경우, 당기순이익지배기업지분과 총가각상각비와 평균발행주식수의 비율
➔ CE-I(TTM) : 4분기 값으로 환산한 당기순이익지배기업지분과 총가각상각비와 평균발행주식수의 비율 * IFRS 연결인 경우 총단기순이익 계정 사용
➔ P/CE : 기말종가와 CE의 비율 값
➔ P/CE (연환산): 12개월 값으로 단순 환산한 P/CE 값
➔ P/CE(고가) : 최고주가와 CE의 비율 값
➔ P/CE(저가) : 최저주가와 CE의 비율 값
➔ P/CE(평균) : 평균종가와 CE의 비율 값
➔ P/CE(TTM) : 기말종가와 CE(TTM)의 비율 값
➔ P/CE-II : 기말종가와 CE-II의 비율 값
➔ P/CE-II (연환산) : 12개월 값으로 단순 환산한 P/CE-II 값
➔ P/CE-II (고가) : 최고주가와 CE의 비율 값
➔ P/CE-II (저가) : 최저주가와 CE의 비율 값
➔ P/CE-II (평균) : 평균종가와 CE의 비율 값
➔ P/CE-III : 기말종가와 CE-II의 비율 값
➔ P/CE-III (연환산): 12개월 값으로 단순 환산한 P/CE-II 값
➔ P/CE-III (고가) : 최고주가와 CE의 비율 값
➔ P/CE-III (저가) : 최저주가와 CE의 비율 값
➔ P/CE-III (평균) : 평균종가와 CE의 비율 값
➔ P/CE-IV : 기말종가와 CE-II의 비율 값
➔ P/CE-IV (연환산) : 12개월 값으로 단순 환산한 P/CE-II 값
➔ P/CE-IV (고가) : 최고주가와 CE의 비율 값
➔ P/CE-IV (저가) : 최저주가와 CE의 비율 값
➔ P/CE-IV (평균) : 평균종가와 CE의 비율 값
➔ EBIT : 재무제표 상의 영업이익(손실) (= s_ga121.ebit)
➔ EBIT Margin : 영업이익과 영업수익의 비율 (=s_ga121.mgn_ebit)
➔ EBIT(TTM) : 최근 4분기의 영업이익
➔ EBIT Margin(TTM) : 최근4분기의 영업이익과 최근4분기의 영업수익의 비율
➔ EBIT증가율(YoY) : 전기EBIT 대비 당기EBIT 비율 값
➔ EBIT증가율(QoQ) : 전분기EBIT 대비 당분기EBIT 비율 값
➔ EBITPS: 평균발행주식수 당 EBIT(영업이익)의 값
➔ EBITPS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EBITPS의 값
➔ EBITPS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EBITPS의 값
➔ EBITPS (연환산) : 12개월 값으로 단순 환산한 평균발행주식수 당 EBIT(영업이익)의 값
➔ EBITPS-II (기말주식수) : 액면계수를 반영한 EBITPS-II의 값
➔ EBITPS-II (기말주식수,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EBITPS-II의 값
➔ EBITPS-II (기말주식수,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EBITPS-II의 값
➔ EBITPS-II (연환산) : 12개월 값으로 단순 환산한 평균발행주식수 당 EBIT-II의 값
➔ EBITPS (TTM) : 평균발행주식수 당 최근 4분기 EBIT(영업이익)의 값
➔ EBITPS (TTM,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EBITPS (TTM)의 값
➔ EBITDA: 감가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 (=s_ga121.ebitda)
➔ EBITDA(연환산) : 12개월 값으로 단순 환산한 EBITDA
➔ EBITDA(TTM) : 최근 4분기 감가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
➔ EBITDA증가율(YoY): 전기 대비 EBITDA 대비 당기EBITDA의 비율
➔ EBITDA증가율(QoQ): 전분기 대비 EBITDA 대비 당분기EBITDA의 비율
➔ EBITDA증가율(3년) : 3년전 대비 EBITDA 년간증가율 * 631130 계산 예 참고
➔ EBITDA증가율(5년) : 5년전 대비 EBITDA 년간증가율 * 631130 계산 예 참고
➔ EBITDA증가율(3년평균) : 직전 3개년의 EBITDA 증가율 평균 값
➔ EBITDA증가율(5년평균) : 직전 5개년의 EBITDA 증가율 평균 값
➔ EBITDA증가율(TTM, YoY) : 직전 4분기 EBITDA의 전년 동기 EBITDA의 비율 값
➔ EBITDA Margin : EBITDA 대 영업수익 비율
➔ EBITDA Margin(3년 평균) : EBITDA Margin 의 최근 3년 평균
➔ EBITDA Margin(5년 평균) : EBITDA Margin 의 최근 5년 평균
➔ EBITDA Margin(TTM): 최근 4분기 EBITDA와 최근 4분기 영업수익의 비율
➔ EBITDAPS : 평균발행주식수당 EBITDA (=s_ga107.ebitdaps, s_ga121.ebitdaps)
➔ EBITDAPS(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EBITDAPS (=s_ga107.adj_ebitdaps)
➔ EBITDAPS(기준액면):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EBITDAPS의 값
➔ EBITDAPS(연환산) : 평균발행주식수당 EBITDA(연환산)의 값
➔ EBITDAPS-II : 기말주식수당 EBITDA
➔ EBITDAPS-II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EBITDAPS-II
➔ EBITDAPS-II (기준액면):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EBITDAPS-II의 값
➔ EBITDAPS-II (연환산) : 기말발행주식수당 EBITDA(연환산)의 값
➔ EBITDAPS-III : 보통주평균발행주식수 당 EBITDA
➔ EBITDAPS-III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EBITDAPS-III
➔ EBITDAPS-III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EBITDAPS-III의 값
➔ EBITDAPS-III (연환산): 평균발행주식수당 EBITDA(연환산)의 값
➔ EBITDAPS-IV (보통주, 자사주차감) : 자사주차감 보통주평균발행주식수당 EBITDA의 값
➔ EBITDAPS-IV (보통주, 자사주차감,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EBITDAPS-IV
➔ EBITDAPS-IV (보통주, 자사주차감,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EBITDAPS-IV의 값
➔ EBITDAPS-IV (보통주, 자사주차감, 연환산): 자사주차감 보통주평균발행주식수당 EBITDA(연환산)의 값
➔ EBITDAPS(TTM) : 평균발행주식수 당 최근 4분기 감가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
➔ EBITDAPS증가율(YoY) : 전기 EBITDAPS 대비 당기 EBITDAPS 증가율
➔ EBITDAPS증가율(QoQ) : 전분기 EBITDAPS 대비 당분기 EBITDAPS 증가율
➔ P/EBITDAPS: 기말종가 대비 EBITDAPS 비율
➔ P/EBITDAPS(연환산) : 기말종가 대비 EBITDAPS(연환산) 비율
➔ P/EBITDAPS(최고): 최고주가 대비 EBITDAPS 비율
➔ P/EBITDAPS(최저): 최저주가 대비 EBITDAPS 비율
➔ P/EBITDAPS(평균): 평균종가 대비 EBITDAPS 비율
➔ P/EBITDAPS-II : 기말종가 대비 EBITDAPS-II 비율
➔ P/EBITDAPS-II (연환산) : 기말종가 대비 EBITDAPS-II(연환산) 비율
➔ P/EBITDAPS-II (최고): 최고주가 대비 EBITDAPS-II 비율
➔ P/EBITDAPS-II (최저): 최저주가 대비 EBITDAPS-II 비율
➔ P/EBITDAPS-II (평균): 평균종가 대비 EBITDAPS-II 비율
➔ P/EBITDAPS-III: 기말종가 대비 EBITDAPS-III 비율
➔ P/EBITDAPS-III (연환산) : 평균종가 대비 EBITDAPS-III(연환산) 비율
➔ P/EBITDAPS-III (최고) : 최고주가 대비 EBITDAPS-III 비율
➔ P/EBITDAPS-III (최저) : 최저주가 대비 EBITDAPS-III 비율
➔ P/EBITDAPS-III (평균) : 평균종가 대비 EBITDAPS-III 비율
➔ P/EBITDAPS-IV : 기말종가 대비 EBITDAPS-IV 비율
➔ P/EBITDAPS-IV (연환산) : 최저주가 대비 EBITDAPS-IV(연환산) 비율
➔ P/EBITDAPS-IV (최고): 최고주가 대비 EBITDAPS-IV 비율
➔ P/EBITDAPS-IV (최저): 최저주가 대비 EBITDAPS-IV 비율
➔ P/EBITDAPS-IV (평균): 평균종가 대비 EBITDAPS-IV 비율
➔ EBITDA2 : 법인세 이자 감가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
➔ EBITDA2(연환산) : 12개월 값으로 단순 환산한 EBITDA2
➔ EBITDA2(TTM) : 최근 4분기 법인세 이자 감가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
➔ EBITDA2증가율(YoY) : 전기 EBITDA2 대비 당기 EBITDA2 증가율
➔ EBITDA2증가율(QoQ) : 전분기 EBITDA2 대비 당분기 EBITDA2 증가율
➔ EBITDA2증가율(3년평균) : ( (652110) / (652110(-3Y) ) ^ (1/3) ) - 1
➔ EBITDA2증가율(5년평균) : ( (652110) / (652110(-5Y) ) ^ (1/5) ) - 1
➔ EBITDA2증가율(TTM, YoY) : 전기 EBITDA2(TTM) 대비 당기 EBITDA2(TTM) 증가율
➔ EBITDA2 Margin: EBITDA2 대 영업수익의 비율
➔ EBITDA2 Margin(3년 평균) : EBITDA2 Margin 의 최근 3년 평균
➔ EBITDA2 Margin(5년 평균) : EBITDA2 Margin 의 최근 5년 평균
➔ EBITDA2 Margin(TTM) : EBITDA2(TTM) 대비 최근 4분기 영업수익의 비율
➔ EBITDA2PS : 평균발행주식수 당 EBITDA2
➔ EBITDA2PS(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EBITDA2PS
➔ EBITDA2PS(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EBITDA2PS의 값
➔ EBITDA2PS(연환산):
➔ EBITDA2PS-II (기말주식수) : 기말주식수 당 EBITDA2
➔ EBITDA2PS-II (기말주식수,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기말주식수 당 EBITDA2PS-II
➔ EBITDA2PS-II (기말주식수,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EBITDA2PS-II의 값
➔ EBITDA2PS-II (기말주식수, 연환산): 기말주식수 당 연환산 EBITDA2
➔ EBITDA2PS-III (보통주평균발행주식수) : 보통주 평균발행주식수 당 EBITDA2
➔ EBITDA2PS-III (보통주평균발행주식수,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보통주 평균발행주식수 당 EBITDA2
➔ EBITDA2PS-III (보통주평균발행주식수,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EBITDAPS-III
➔ EBITDA2PS-III (보통주, 연환산) : 보통주 평균발행주식수 당 연환산 EBITDA2
➔ EBITDA2PS-IV (보통주, 자사주차감): 자사주 차감 보통주 평균발행주식수 당 EBITDA2
➔ EBITDA2PS-IV (보통주, 자사주차감, 수정): 액면계수를 반영한 자사주 차감 보통주 평균발행주식수 당 EBITDA2
➔ EBITDA2PS-IV (보통주, 자사주차감,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EBITDAPS-IV
➔ EBITDA2PS-IV (보통주, 자사주차감, 연환산) : 자사주 차감 보통주 평균발행주식수 당 연환산 EBITDA2
➔ EBITDA2PS(TTM): 평균발행주식수 당 최근 4분기 EBITDA2
➔ P/EBITDA2PS : 기말종가 대비 EBITDA2PS 비율
➔ P/EBITDA2PS (연환산) : 기말종가 대비 EBITDA2PS(연환산) 비율
➔ P/EBITDA2PS (최고) : 최고주가 대비 EBITDA2PS 비율
➔ P/EBITDA2PS (최저) : 최저주가 대비 EBITDA2PS 비율
➔ P/EBITDA2PS (평균) : 평균종가 대비 EBITDA2PS 비율
➔ P/EBITDA2PS-II: 기말종가 대비 EBITDA2PS-II 비율
➔ P/EBITDA2PS-II (연환산) : 기말종가 대비 EBITDA2PS-II(연환산) 비율
➔ P/EBITDA2PS-II (최고) : 최고주가 대비 EBITDA2PS-II 비율
➔ P/EBITDA2PS-II (최저) : 최저주가 대비 EBITDA2PS-II 비율
➔ P/EBITDA2PS-II (평균) : 평균종가 대비 EBITDA2PS-II 비율
➔ P/EBITDA2PS-III : 기말종가 대비 EBITDA2PS-III 비율
➔ P/EBITDA2PS-III (연환산) : 평균종가 대비 EBITDA2PS-III(연환산) 비율
➔ P/EBITDA2PS-III (최고) : 최고주가 대비 EBITDA2PS-III 비율
➔ P/EBITDA2PS-III (최저) : 최저주가 대비 EBITDA2PS-III 비율
➔ P/EBITDA2PS-III (평균) : 평균종가 대비 EBITDA2PS-III 비율
➔ P/EBITDA2PS-IV: 기말종가 대비 EBITDA2PS-IV 비율
➔ P/EBITDA2PS-IV (연환산) : 평균종가 대비 EBITDA2PS-IV (연환산) 비율
➔ P/EBITDA2PS-IV (최고) : 최고주가 대비 EBITDA2PS-III 비율
➔ P/EBITDA2PS-IV (최저) : 최저주가 대비 EBITDA2PS-III 비율
➔ P/EBITDA2PS-IV (평균) : 평균종가 대비 EBITDA2PS-III 비율
➔ EBITDA2PS증가율(YoY) : 전기 EBITDAPS 대비 당기 EBITDA2PS 증가율
➔ EBITDA2PS증가율(QoQ) : 전분기 EBITDAPS 대비 당분기 EBITDA2PS 증가율
➔ Operating EBIT: Operating EBIT
➔ Operating EBIT증가율(YoY) : 잔기 Operating EBIT 대비 당기 증가율
➔ Operating EBIT증가율(QoQ) : 당분기Op.EBIT(654810) / 전분기Op.EBIT(654810) - 1
➔ 순차입금 : 순차입금
➔ 순차입금비율: 자본총계 대비 순차입금 비율
➔ EV: 기업의 총가치 (=s_ga121.ev)
➔ EV(최고): 기업의 총가치 (최고)
➔ EV(최저): 기업의 총가치 (최저)
➔ EV(평균): 기업의 총가치 (평균)
➔ EV(YoY) : 전년 EV대비 당기EV 증가율
➔ EV/EBIT : EV 대 EBIT의 비율 (=s_ga121.evebit)
➔ EV/EBIT(최고) : 최고 EV 대 EBIT의 비율
➔ EV/EBIT(최저) : 최저 EV 대 EBIT의 비율
➔ EV/EBIT(평균) : 평균 EV 대 EBIT의 비율
➔ EV/EBIT(TTM) : EV 대 EBIT(TTM)의 비율
➔ EV/EBIT(Operating): EV 대 Operating EBIT의 비율
➔ EV/EBIT(Operating, 최고) : 최고 EV 대 Operating EBIT의 비율
➔ EV/EBIT(Operating, 최저) : 최저 EV 대 Operating EBIT의 비율
➔ EV/EBIT(Operating, 평균) : 평균 EV 대 Operating EBIT의 비율
➔ EV/EBITDA : EV 대 EBITDA의 비율 (=s_ga121.hst_evebitda)
➔ EV/EBITDA(연환산): EV 대 EBITIDA(연환산)이 비율
➔ EV/EBITDA(최고) : 최고EV 대 EBITDA의 비율
➔ EV/EBITDA(최저) : 최저EV 대 EBITDA의 비율 (=s_ga121.lws_evebitda)
➔ EV/EBITDA(평균) : 평균EV 대 EBITDA의 비율
➔ EV/EBITDA(TTM): EV 대 EBITIDA(TTM)의 비율
➔ EV/EBITDA2: EV 대 EBITIDA2의 비율
➔ EV/EBITDA2(연환산) : EV 대 연환산 EBITIDA2의 비율
➔ EV/EBITDA2(최고): 최고EV 대 EBITIDA2의 비율
➔ EV/EBITDA2(최저): 최저EV 대 EBITIDA2의 비율
➔ EV/EBITDA2(평균): 평균EV 대 EBITIDA2의 비율
➔ EV/EBITDA2(TTM) : EV(655110) / EBITIDA2(TTM) (652080)
➔ EV/Sales : EV 대 매출액의 비율
➔ EV/Sales(연환산) : EV 대 연환산 매출액의 비율
➔ EV/Sales(최고) : 최고 EV 대 매출액의 비율
➔ EV/Sales(최저) : 최저 EV 대 매출액의 비율
➔ EV/Sales(평균) : 평균 EV 대 매출액의 비율
➔ EV/Sales(TTM) : EV 대 연환산 최근 4분기 매출액의 비율
➔ 이익수익률 : 기업가치 대비 영업이익률
➔ 이익수익률(TTM): 기업가치 대비 직전 4분기 영업이익의 비율
➔ Capex : 미래 이윤 창출을 위해 지출한 비용
➔ Capex증가율(YoY) : 전기 대비 당기Capex 증가율
➔ FCF-I : 잉여현금흐름 (=s_ga121.fcf)
➔ FCF-II: 잉여현금흐름
➔ FCF-III : 잉여현금흐름
➔ FCF-II (TTM) : 최근 4분기 잉여현금흐름
➔ FCF-III (TTM) : 최근 4분기 잉여현금흐름
➔ FCF증가율(YoY) : 전기 대비 당기FCF 증가율
➔ FCF-II증가율(YoY): 전기 대비 당기FCF-II 증가율
➔ FCFPS-I : 주당잉여현금흐름 (=s_ga121.fcfps)
➔ FCFPS-I (평균발행주식수) : 28-1070 / 일수가중평균발행주식수(보통주)
➔ FCFPS-I (평균발행주식수, 자사주차감) : 자사주 차감 평균발행주식수 당 잉여현금흐름
➔ FCFPS-I (평균발행주식수, 우선주배당차감) : 평균발행주식수 당 우선주배당금 차감 잉여현금흐름(FCF-I)
➔ FCFPS-I (기말발행주식수, 보통주) : 기말주식수 당 잉여현금흐름(FCF-I) (28-1070) / (11-8111) ** 281110 의 분모가 보통주이면 보통주+우선주로 변경
➔ FCFPS-II (기말발행주식수): 기말주식수 당 잉여현금흐름(FCF-II)
➔ FCFPS-II (평균발행주식수): 평균발행주식수당 잉여현금흐름(FCF-II)
➔ FCFPS-II (평균발행주식수, 자사주차감): 자사주 차감 평균발행주식수당 잉여현금흐름(FCF-II)
➔ FCFPS-III (기말발행주식수) : 기말발행주식수 당 잉여현금흐름(FCF-III)
➔ FCFPS-III (평균발행주식수) : 평균발행주식수 당 잉여현금흐름(FCF-III)
➔ FCFPS-III (평균발행주식수, 자사주차감) : 자사주 차감 평균발행주식수당 잉여현금흐름(FCF-III)
➔ P/FCFPS-I : 기말종가 대 주당잉여현금흐름(FCFPS-I) 의 비율
➔ P/FCFPS-I (최고): 최고주가 대 주당잉여현금흐름(FCFPS-I) 의 비율
➔ P/FCFPS-I (최저): 최저주가 대 주당잉여현금흐름(FCFPS-I) 의 비율
➔ P/FCFPS-I (평균): 평균종가 대 주당잉여현금흐름(FCFPS-I) 의 비율
➔ P/FCFPS-II: 기말종가 대 주당잉여현금흐름(FCFPS-II) 의 비율
➔ P/FCFPS-II(최고): 최고주가 대 주당잉여현금흐름(FCFPS-II) 의 비율
➔ P/FCFPS-II(최저): 최저주가 대 주당잉여현금흐름(FCFPS-II) 의 비율
➔ P/FCFPS-II(평균): 평균종가 대 주당잉여현금흐름(FCFPS-II) 의 비율
➔ P/FCFPS-III : 기말종가 대 주당잉여현금흐름(FCFPS-III) 의 비율
➔ P/FCFPS-III(최고) : 최고주가 대 주당잉여현금흐름(FCFPS-III) 의 비율
➔ P/FCFPS-III(최저) : 최저주가 대 주당잉여현금흐름(FCFPS-III) 의 비율
➔ P/FCFPS-III(평균) : 평균종가 대 주당잉여현금흐름(FCFPS-III) 의 비율
➔ EVA : 경제적부가가치 (=s_ga121.eva)
➔ EVAPS : 기말발행주식수 당 EVA (=s_ga121.evaps)
➔ EVAPS(평균발행주식수): 평균발행주식수 당 EVA
➔ IC: 평균투하자산 (=s_ga121.ic)
➔ MVA : 시장부가가치 (=s_ga121.ic)
➔ MVAPS : 기말발행주식수 당 MVA (=s_ga121.mvaps)
➔ NOPLAT: 세후영업이익 (=s_ga121.noplat)
➔ NOPLAT/이자비용 : NOPLAT 대 이자비용 비율
➔ NOPLAT증가율 : 전기 대비 NOPLAT 증가율
➔ ROIC : NOPLAT 대 IC 비 (=s_ga121.roic)
➔ WACC : 가중평균자본비용 (=s_ga121.wacc)
➔ ROA-I : 총자산수익률
➔ ROA-I (3년): 최근 3년 간의 년간 총자산수익률 (12-9000)의 3년평균 / (11-5000)의 4년평균
➔ ROA-I (5년): 최근 5년 간의 년간 총자산수익률 (12-9000)의 5년평균 / (11-5000)의 6년평균
➔ ROA-I (3년 평균) : 최근 3개년 총자산수익률의 평균
➔ ROA-I (5년 평균) : 최근 5개년 총자산수익률의 평균
➔ ROA-I (TTM) : 최근 4분기 총자산수익률
➔ ROA-II (총포괄이익): 총포괄이익 대 자산총계 비율
➔ ROA-II (3년) : 최근 3년 간의 년간 총자산수익률
➔ ROA-II (5년) : 최근 5년 간의 년간 총자산수익률
➔ ROA-II (3년평균) : ROA-II의 최근 3년 평균
➔ ROA-II (5년평균) : ROA-II의 최근 4년 평균
➔ ROA-II (TTM) : 직전 4분기 ROA-II
➔ ROA-III (영업이익): 영업이익 대 자산총계의 비율
➔ ROA-III (영업이익, 3년): 최근 3년간의 년간 총자산수익률
➔ ROA-III (영업이익, 5년): 최근 5년간의 년간 총자산수익률
➔ ROA-III (영업이익, 3년평균) : ROA-III (영업이익) 의 최근 3년 평균
➔ ROA-III (영업이익, 5년평균) : ROA-III (영업이익) 의 최근 5년 평균
➔ ROA-III (TTM) : 최근 4분기 총자산수익률
➔ ROE-I : 자기자본이익률
➔ ROE-I (3년): 최근 3년간의 년간 자기자본이익률
➔ ROE-I (5년): 최근 5년간의 년간 자기자본이익률
➔ ROE-I (3년 평균) : 최근 3년의 자기자본이익률의 평균
➔ ROE-I (5년 평균) : 최근 5년의 자기자본이익률의 평균
➔ ROE-I (TTM) : 최근 4분기 자기자본이익률
➔ ROE-II (지배주주지분) : 당기순이익의 지배기업지분 대 지배회사 지분의 비율
➔ ROE-II (지배기업지분, 3년) : 최근 3년간의 년간 자기자본이익률
➔ ROE-II (지배기업지분, 5년) : 최근 5년간의 년간 자기자본이익률
➔ ROE-II (지배기업지분, 3년평균) : 최근 3년의 자기자본이익률의 평균
➔ ROE-II (지배기업지분, 5년평균) : 최근 5년의 자기자본이익률의 평균
➔ ROE-II (TTM) : 직전 4분기 ROE-II
➔ ROE-III (영업이익): 자본총계 평균 대비 영업이익 비율
➔ ROE-III (영업이익, 3년): 최근 3년간의 년간 자기자본이익률
➔ ROE-III (영업이익, 5년): 최근 5년간의 년간 자기자본이익률
➔ ROE-III (영업이익, 3년평균) : ROE-III(영업이익)의 최근 3개년 평균
➔ ROE-III (영업이익, 5년평균) : ROE-III(영업이익)의 최근 5개년 평균
➔ ROE-III (영업이익, TTM) : 자본총계 평균 대비 최근 4분기 영업이익
➔ 계속사업이익률 : 계속사업이익률
➔ 계속사업이익증가율(YoY): 전기 대비 계속사업이익률 증가율
➔ 계속사업이익증가율(QoQ): 전분기 대비 계속사업이익률 증가율
➔ 계속사업이익률(TTM) : 직전 4분기 계속사업이익률
➔ 계속사업이익률(TTM) : 직전 4분기 대비 계속사업영업이익 대 매출액 비율
➔ 납입자본이익률 : 납입자본이익률
➔ 당기순이익률: 당기순이익률
➔ 당기순이익률(3년): 최근 3년간의 년간 당기순이익률
➔ 당기순이익률(5년): 최근 5년간의 년간 당기순이익률
➔ 당기순이익률(3년평균) : 당기순이익률 직전 3개년 평균
➔ 당기순이익률(5년평균) : 당기순이익률 직전 5개년 평균
➔ 당기순이익률(TTM) : 직전 4분기 당기순이익률
➔ 당기순이익증가율 : 전년 대비 당기순이익증가율
➔ 당기순이익증가율(3년) : 3년전 대비 년간 당기순이익증가율 * 631130 계산 예 참고
➔ 당기순이익증가율(5년) : 5년전 대비 년간 당기순이익증가율 * 631130 계산 예 참고
➔ 당기순이익증가율(3년평균): 당기순이익증가율 직전 3개년 평균
➔ 당기순이익증가율(5년평균): 당기순이익증가율 직전 5개년 평균
➔ 당기순이익증가율(TTM) : 직전 4분기 당기순이익률의 전기 대비 증가율
➔ 영업이익률 : 영업이익 대 매출액 비율
➔ 영업이익률(3년) : 최근 3년간의 년간 영업이익률
➔ 영업이익률(5년) : 최근 5년간의 년간 영업이익률
➔ 영업이익률(3년평균) : 영업이익률 직전 3년 평균
➔ 영업이익률(5년평균) : 영업이익률 직전 5년 평균
➔ 영업이익률(TTM): 직전 4분기 영업이익률
➔ 영업이익증가율(YoY) : 전기 대비 영업이익증가율
➔ 영업이익증가율(QoQ) : 전분기 대비 영업이익증가율
➔ 영업이익증가율(3년) : 3년 전 영업이익 대비 년간 영업이익증가율 * 631130 계산 예 참고
➔ 영업이익증가율(5년) : 5년 전 대비 년간 영업이익증가율 * 631130 계산 예 참고
➔ 영업이익증가율(3년평균) : 영업이익증가율의 3년 평균
➔ 영업이익증가율(5년평균) : 영업이익증가율의 5년 평균
➔ 영업이익증가율(TTM, YoY) : 직전4분기 영업이익의 전년동기 대비 증가율
➔ 내수비중 : 내수비중
➔ 수출비중 : 수출비중
➔ 당좌비율 : 당좌비율
➔ 당좌자산구성비율 : 당좌자산구성비율
➔ 당좌자산증가율 : 전년 대비 당좌자산 증가율
➔ 매입채무 대 재고자산 : 매입채무 대 재고자산 비율
➔ 매입채무회전율 : 매입채무회전율
➔ 매입채무평균지급기간: 매입채무평균지급기간
➔ 매입채무증가율 : 전년 대비 매입채무증가율
➔ 매출액증가율(YoY) : 전년대비 매출액증가율
➔ 매출액증가율(QoQ) : 전분기 대비 매출액증가율
➔ 매출액증가율(3년): 3년 전 대비 년간 매출액증가율 * 631130 계산 예 참고
➔ 매출액증가율(5년): 5년 전 대비 년간 매출액증가율 * 631130 계산 예 참고
➔ 매출액증가율(3년평균) : 매출액증가율의 직전 3년 평균
➔ 매출액증가율(5년평균) : 매출액증가율의 직전 5년 평균
➔ 매출액증가율(TTM, YoY) : 직전 4분기 매출액의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 매출총이익증가율(YoY) : 전년 대비 매출총이익 증가율
➔ 매출총이익증가율(QoQ) : 전분기 대비 매출총이익 증가율
➔ 매출원가증가율(YoY) : 전년 대비 매출원가 증가율
➔ 매출원가증가율(QoQ) : 전분년 대비 매출원가 증가율
➔ 매출원가율 : 매출원가율(재무비율)
➔ 매출원가/재고자산 : 매출원가 대 재고자산의 비율
➔ 매출채권 대 매출액: 매출채권 대 매출액의 비율
➔ 매출채권 대 매입채무 : 매출채권 대 매입채무의 비율
➔ 매출채권회전율 : 매출채권회전율(재무비율)
➔ 매출채권평균회수기간: 매출채권평균회수기간(재무비율)
➔ 매출채권증가율 : 전기 대비 매출채권 증가율
➔ 비유동자산 대 총자본 : 비유동자산 대 총자본의 비율
➔ 비유동자산회전율 : 비유동자산회전율
➔ 비유동자산구성비율 : 자본총계 대비 비유동자산 구성 비율
➔ 비유동장기적합률 : 비유동장기적합률
➔ 비유동자산증가율 : 비유동자산증가율
➔ 무형자산구성비율 : 자산총계 대비 무형자산 구성비율
➔ 연구개발비율: 매출액 대비 경상연구개발비
➔ 부채비율 : 부채비율(재무비율)
➔ 부채총계증가율 : 전기 대비 부채총계 증가율
➔ 비유동부채비율 : 비유동부채비율(재무비율)
➔ 비유동부채증가율 : 전기 대비 비유동부채 증가율
➔ 유동비율 : 유동비율(재무비율)
➔ 세전계속사업이익율 : 세전계속사업이익율
➔ 세전계속사업이익율(3년) : 최근 3년간의 년간 세전계속사업이익율
➔ 세전계속사업이익율(5년) : 최근 5년간의 년간 세전계속사업이익율
➔ 세전계속사업이익율(3년평균) : 세전계속사업이익율의 직전 3개년 평균
➔ 세전계속사업이익율(5년평균) : 세전계속사업이익율의 직전 5개년 평균
➔ 세전계속사업이익율(TTM): 직전 4분기 세전계속사업이익률
➔ 세전계속사업이익증가율(YoY) : 전기 대비 세전계속사업이익증가율
➔ 세전계속사업이익증가율(QoQ) : 전분기 대비 세전계속사업이익증가율
➔ 세전계속사업이익증가율(3년) : 3년 전 대비 년간 세전계속사업이익증가율
➔ 세전계속사업이익증가율(5년) : 5년 전 대비 년간 세전계속사업이익증가율
➔ 세전계속사업이익증가율(3년평균) : 세전계속사업이익증가율의 직전 3년 평균
➔ 세전계속사업이익증가율(5년평균) : 세전계속사업이익증가율의 직전 5년 평균
➔ 세전계속사업이익증가율(TTM, YoY) : 직전 4분기 세전계속사업 이익의 전기대비 변화율
➔ 순이익률 : 당기순이익 대 매출액 비율
➔ 순이익증가율(YoY) : 전기 대비 순이익 증가율
➔ 순이익증가율(QoQ) : 전분기 대비 순이익 증가율
➔ 순이익증가율(지배, YoY) : 전기 대비 기업지배지분순이익 증가율
➔ 순이익증가율(지배, QoQ) : 전분기 대비 기업지배지분순이익 증가율
➔ 유동자산 대 비유동자산 : 유동자산 대 비유동자산 비율
➔ 유동자산구성비율 : 유동자산구성비율
➔ 유동자산증가율 : 유동자산증가율
➔ 유형자산구성비율 : 유형자산구성비율
➔ 유형자산증가율 : 유형자산증가율(재무비율)
➔ 유형자산회전율 : 유형자산회전율(재무비율)
➔ 부가가치 : 부가가치
➔ 부가가치율 : 부가가치율(재무비율)
➔ 부가가치(종업원1인당) : 부가가치(종업원1인당)(재무비율)
➔ 이자보상배율: 이자보상배율
➔ 이자보상배율(TTM) : 직전 4분기 이자보상배율
➔ 자기자본비율: 자기자본비율(재무비율)
➔ 자기자본증가율 : 자기자본증가율(재무비율)
➔ 자기자본회전율 : 자기자본회전율(재무비율)
➔ 자기자본영업이익률 : 자기자본영업이익률
➔ 자기자본세전계속사업이익률 : 자기자본세전계속사업이익률
➔ 자본금회전율: 자본금회전율(재무비율)
➔ 자본금영업이익률 : 전기 대비 자본금 영업이익률
➔ 자본금세전계속사업이익률 : 전기 대비 자본금세전계속사업이익률
➔ 자본금증가율(YoY) : 전기 대비 자본금증가율
➔ 자본금증가율(QoQ) : 전분기 대비 자본금증가율
➔ 자본금증가율(3년): 3년 전 대비 년간 자본금 증가율
➔ 자본금증가율(5년): 5년 전 대비 년간 자본금 증가율
➔ 자본금증가율(3년평균) : 자본금증가율의 직전 3개년 평균
➔ 자본금증가율(5년평균) : 자본금증가율의 직전 5개년 평균
➔ 재고자산 대 매출액비율 : 재고자산 대 매출액비율
➔ 재고자산 대 매출액비율(TTM) : 직전 4분기 재고자산 대 매출액의 비율
➔ 재고자산 대 유동자산 비율: 재고자산 대 유동자산 비율
➔ 재고자산 대 유동자산 비율(TTM) : 직전 4분기 재고자산 대 유동자산의 비율
➔ 재고자산구성비율 : 재고자산구성비율
➔ 재고자산구성비율(TTM) : 직전 4분기 재고자산구성비율
➔ 재고자산회전율 : 재고자산회전율(재무비율)
➔ 재고자산평균회전기간: 재고자산평균회전기간
➔ 재고자산증가율 : 전기대비 재고자산 증가율
➔ 영업수익증가율 : 영업수익증가율
➔ 인건비 : 인건비 + 노무비 + 복리후생비
➔ 종업원수증가율 : 전기 종업원수 대비 증가율
➔ 종업원1인당인건비 : 종업원1인당 인건비
➔ 종업원1인당인건비증가율 : 전기 대비 1인당 인건비 증가율
➔ 종업원1인당매출액 : 종업원1인당매출액(재무비율)
➔ 종업원1인당매출액증가율 : 종업원1인당매출액증가율
➔ 종업원1인당영업이익: 종업원1인당영업이익
➔ 종업원1인당영업이익(TTM) : 직전 4분기 종업원1인당 영업이익
➔ 종업원1인당영업이익증가율 : 종업원1인당영업이익증가율
➔ 종업원1인당세전계속사업이익(TTM) : 직전 4분기 종업원1인당 세전계속사업이익
➔ 종업원1인당세전계속사업이익증가율 : 종업원1인당세전계속사업이익증가율
➔ 종업원1인당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종업원1인당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재무비율)
➔ 종업원1인당순이익 : 종업원1인당순이익(재무비율)
➔ 종업원1인당순이익증가율 : 종업원1인당순이익증가율
➔ 노동생산성 : 종업원 당 부가가치
➔ 노동소득분배율 : 부가가치 대비 인건비
➔ 자본집약도(종업원1인당) : 자본집약도(종업원1인당)(재무비율)
➔ 지배주주지분증가율(YoY): 전기 대비 지배주주지분증가율
➔ 지배주주지분증가율(QoQ): 전분기 대비 지배주주지분증가율
➔ 지배주주지분증가율(3년) : 3년 전 대비 년간 지배주주지분 증가율
➔ 지배주주지분증가율(5년) : 5년 전 대비 년간 지배주주지분 증가율
➔ 지배주주지분증가율(3년평균) : 지배주주지분증가율의 직전 3년 평균
➔ 지배주주지분증가율(5년평균) : 지배주주지분증가율의 직전 5년 평균
➔ 지배기업지분당기순이익률 : 지배기업지분당기순이익률
➔ 지배기업지분당기순이익률(3년) : 최근 3년간의 년간 지배기업지분당기순이익률
➔ 지배기업지분당기순이익률(5년) : 최근 5년간의 년간 지배기업지분당기순이익률
➔ 지배기업지분당기순이익률(3년평균): 지배기업지분당기순이익률의 직전 3년 평균
➔ 지배기업지분당기순이익률(5년평균): 지배기업지분당기순이익률의 직전 5년 평균
➔ 지배기업지분당기순이익률(TTM) : 직전 4분기 지배기업지분 당기순이익률
➔ 지배기업지분당기순이익률(법인세차감전계속영업이익대비) 법인세:차감전계속영업이익 대비 지배기업지분당기순이익률
➔ 지배기업지분당기순이익률(영업이익대비) : 영업이익 대비 지배기업지분당기순이익률
➔ 지배기업지분당기순이익증가율(YoY) : 전기 대비 지배기업지분당기순이익증가율
➔ 지배기업지분당기순이익증가율(QoQ) : 전분기 대비 지배기업지분당기순이익증가율
➔ 지배기업지분당기순이익증가율(3년): 3년 전 대비 년간 지배기업지분당기순이익증가율
➔ 지배기업지분당기순이익증가율(5년): 5년 전 대비 년간 지배기업지분당기순이익증가율
➔ 지배기업지분당기순이익증가율(3년평균) : 지배기업지분당기순이익증가율의 직전 3년 평균
➔ 지배기업지분당기순이익증가율(5년평균) : 지배기업지분당기순이익증가율의 직전 5년 평균
➔ 지배기업지분당기순이익증가율(TTM, YoY) : 직전 4분기 지배기업지분당기순이익의 전년동기 대비 증가율
➔ 총차입금 : 장단기 총 차입금
➔ 총차입금(TTM) : 직전 4분기 총차입금
➔ 총차입금증가율(YoY) : 전기 대비 총차입금 증가율
➔ 총차입금증가율(QoQ) : 전분기 대비 총차입금 증가율
➔ 총차입금증가율(3년) : 3년 전 대비 년간 총차입금 증가율
➔ 총차입금증가율(5년) : 5년 전 대비 년간 총차입금 증가율
➔ 총차입금증가율(3년평균) : 총차입금증가율의 직전 3년 평균
➔ 총차입금증가율(5년평균) : 총차입금증가율의 직전 5년 평균
➔ 총차입금증가율(TTM) : 직전 4분기 총차입금의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 차입금비율 : 자본총계 대비 총차입금 비율
➔ 차입금의존도: 차입금의존도(재무비율)
➔ 차입부채 대 EBITDA : 차입부채 대 EBITDA
➔ 차입부채 대 영업수익 : 차입부채 대 영업수익
➔ 차입부채 대 영업이익 : 차입부채 대 영업이익
➔ 차입부채조달금리 : 차입부채조달금리
➔ 현금및현금성자산구성비율 : 현금및현금성자산구성비율
➔ 장기차입부채/EBITDA : 장기차입부채/EBITDA
➔ 유동부채비율: 유동부채비율(재무비율)
➔ 유동부채증가율 : 유동부채증가율
➔ 순이자비용 대 영업수익 : 순이자비용 대 영업수익
➔ EBIT 대 이자비용 : EBIT 대 이자비용
➔ EBITDA 대 이자비용 : EBITDA 대 이자비용
➔ 자산총계 대 자본총계 : 자산총계 대 자본총계
➔ 자산총계세전계속사업이익률 : 자산총계세전계속사업이익률
➔ 자산총계영업이익률 : 자산총계영업이익률
➔ 자산총계증가율(YoY) : 전기 대비 자산총계 증가율
➔ 자산총계증가율(QoQ) : 전분기 대비 자산총계 증가율
➔ 자산총계증가율(3년) : 3년 전 대비 년간 자산총계 증가율
➔ 자산총계증가율(5년) : 5년 전 대비 년간 자산총계 증가율
➔ 자산총계증가율(3년평균) : 자산총계증가율의 직전 3년 평균
➔ 자산총계증가율(5년평균) : 자산총계증가율의 직전 5년 평균
➔ 자산총계회전율 : 전년 대비 자산총계회전율
➔ 자산총계회전율(3년) : 최근 3년간의 년간 자산총계회전율
➔ 자산총계회전율(5년) : 최근 5년간의 년간 자산총계회전율
➔ 자산총계회전율(3년평균) : 자산총계회전율의 3년 평균
➔ 자산총계회전율(5년평균) : 자산총계회전율의 5년 평균
➔ 자산총계회전율(TTM) : 직전 4분기 자산총계 회전율
➔ 총자산증가율: 총자산증가율(재무비율)
➔ 총자본증가율(YoY) : 전년 대비 총자본 증가율
➔ 총자본증가율(QoQ) : 전분기 대비 총자본 증가율
➔ 총자본증가율(3년): 3년 전 대비 년간 총자산의 증가율
➔ 총자본증가율(5년): 5년 전 대비 년간 총자본의 증가율
➔ 총자본증가율(3년평균) : 총자본증가율의 직전 3년 평균
➔ 총자본증가율(5년평균) : 총자본증가율의 직전 5년 평균
➔ 총자본회전율(TTM) : 직전 4분기 총자본 회전율
➔ 총포괄이익율: 총포괄이익율
➔ 총포괄이익율(TTM) : 직전 4분기 총포괄이익율
➔ 총포괄이익증가율(YoY) : 전기 대비 총포괄이익 증가율
➔ 총포괄이익증가율(QoQ) : 전분기 대비 총포괄이익 증가율
➔ 총포괄이익증가율(3년) : 3년 전 대비 년간 총포괄이익증가율
➔ 총포괄이익증가율(5년) : 5년 전 대비 년간 총포괄이익증가율
➔ 총포괄이익증가율(3년평균): 총포괄이익증가율의 직전 3년 평균
➔ 총포괄이익증가율(5년평균): 총포괄이익증가율의 직전 5년 평균
➔ 타인자본비율: 자산총계 중 부채총계의 비율
➔ 타인자본비율(TTM) : 직전 4분기 자산총계 중 부채총계의 비율
➔ 타인자본회전율 : 타인자본회전율
➔ 타인자본회전율(3년) : 최근 3년간의 년간 타인자본회전율
➔ 타인자본회전율(5년) : 최근 5년간의 년간 타인자본회전율
➔ 타인자본회전율(3년평균) : 타인자본회전율의 최근 3년 평균
➔ 타인자본회전율(5년평균) : 타인자본회전율의 최근 5년 평균
➔ 타인자본회전율(TTM) : 직전4분기 타인자본회전율
➔ 판관비율 : 매출액 대비 판관비의 비율
➔ 판관비율(TTM) : 직전 4분기 판관비의 비율
➔ 판매비와관리비증가율(YoY) : 전기 대비 판매비와관리비 증가율
➔ 판매비와관리비증가율(QoQ) : 전분기 대비 판매비와관리비 증가율
➔ 판매비와관리비증가율(3년): 3년 전 대비 년간 판매비와관리비증가율
➔ 판매비와관리비증가율(5년): 5년 전 대비 년간 판매비와관리비증가율
➔ 판매비와관리비증가율(3년평균) : 판매비와관리비증가율의 직전 3년 평균
➔ 판매비와관리비증가율(5년평균) : 판매비와관리비증가율의 직전 5년 평균
➔ 판매비와관리비증가율(TTM) : 직전 4분기 판매비와관리비의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가치지표 - 배당지표관련 옵션
기간 : 조회하고자 하는 시작년도와 종료년도를 선택합니다.
결산 : 조회할 시점을 결산, 반기, 1분기, 3분기 중 선택합니다.
항목은 다음과 같은 계정으로 이루어졌습니다.
➔ 현금배당성향: 현금배당금 대 당기순이익의 비율
➔ 주식배당성향(%) : 주식배당금 대 당기순이익의 비율
➔ 현금배당수익률 : 현금주당배당금 대 기말종가의 비율
➔ 현금배당수익률(고가) : 현금주당배당금 대 최고종가의 비율
➔ 현금배당수익률(저가) : 현금주당배당금 대 최저종가의 비율
➔ 현금배당금 총액(보통주, 년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현금배당금의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 현금배당금 총액(보통주, 중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현금배당금 중 결산 배당을 제외한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 현금배당금 총액(보통주) : 해당 결산(K, B, T, F)일의 보통주 현금배당금
➔ 현금배당금 총액(우선주, 년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현금배당금의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 현금배당금 총액(우선주, 중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현금배당금 중 결산 배당을 제외한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 현금배당금 총액(우선주) : 해당 결산(K, B, T, F)일의 우선주 현금배당금
➔ 현금배당금 총액(보통주+우선주, 년간배당합) : 보통주, 우선주 합산 년간 현금배당금 합계
➔ 현금배당금 총액(보통주+우선주, 중간배당합) : 보통주, 우선주 합산 중간 현금배당금 합계
➔ 현금배당금 총액(보통주+우선주) : 보통주, 우선주 합산 분기 현금배당금 합계
➔ 주식배당금 총액(보통주, 년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주식배당금의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 주식배당금 총액(보통주, 중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주식배당금 중 결산 배당을 제외한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 주식배당금 총액(보통주) : 해당 결산(K, B, T, F)일의 보통주 주식 배당금
➔ 주식배당금 총액(우선주, 년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주식배당금의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 주식배당금 총액(우선주, 중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주식배당금 중 결산 배당을 제외한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 주식배당금 총액(우선주) : 해당 결산(K, B, T, F)일의 우선주 주식배당금
➔ 주식배당금 총액(보통주+우선주, 년간배당합) : 보통주, 우선주 합산 년간 주식배당금 합계
➔ 주식배당금 총액(보통주+우선주, 중간배당합) : 보통주, 우선주 합산 중간 주식배당금 합계
➔ 주식배당금 총액(보통주+우선주) : 보통주, 우선주 합산 주식배당금 합계
➔ 배당금 총액(현금배당+주식배당, 보통주) : 보통주의 현금배당 총액과 주식배당 총액의 합
➔ 배당금 총액(현금배당+주식배당, 우선주) : 우선주의 현금배당 총액과 주식배당 총액의 합
➔ 배당금 총액(현금배당+주식배당, 보통주+우선주) : 보통주와 우선주 전체에 대한 현금배당 총액과 주식배당 총액의 합
➔ 배당금 총액(현금배당+주식배당, 보통주, 중간배당합): 보통주의 현금배당 총액과 주식배당 총액의 합
➔ 배당금 총액(현금배당+주식배당, 우선주, 중간배당합): 우선주의 현금배당 총액과 주식배당 총액의 합
➔ 배당금 총액(현금배당+주식배당, 보통주+우선주, 중간배당합) 보:통주와 우선주 전체에 대한 현금배당 총액과 주식배당 총액의 합
➔ 배당금 총액(현금배당+주식배당, 보통주, 년간배당합): 보통주의 현금배당 총액과 주식배당 총액의 합
➔ 배당금 총액(현금배당+주식배당, 우선주, 년간배당합): 우선주의 현금배당 총액과 주식배당 총액의 합
➔ 배당금 총액(현금배당+주식배당, 보통주+우선주, 년간배당합) 보:통주와 우선주 전체에 대한 현금배당 총액과 주식배당 총액의 합
➔ 주식배당주식수 총수(보통주, 년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주식배당 주식수의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 주식배당주식수 총수(보통주, 년간배당합,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보통주 주식배당주식수 년간배당합
➔ 주식배당주식수 총수(보통주, 년간배당합,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보통주 주식배당주식수 년간배당합
➔ 주식배당주식수 총수(보통주, 중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주식배당 주식 중 결산배당을 제외한 주식수의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 주식배당주식수 총수(보통주, 중간배당합,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보통주 주식배당주식수 중간배당합
➔ 주식배당주식수 총수(보통주, 중간배당합,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보통주 주식배당주식수 중간배당합
➔ 주식배당주식수 총수(보통주) : 해당 결산(K, B, T, F)일의 보통주 배당 주식수
➔ 주식배당주식수 총수(보통주,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보통주 주식 배당 주식수
➔ 주식배당주식수 총수(보통주,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보통주 주식 배당 주식수
➔ 주식배당주식수 총수(우선주, 년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주식배당 주식수의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 주식배당주식수 총수(우선주, 년간배당합,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우선주 주식배당주식수 년간배당합
➔ 주식배당주식수 총수(우선주, 년간배당합,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우선주 주식배당주식수 년간배당합
➔ 주식배당주식수 총수(우선주, 중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주식배당 주식 중 결산배당을 제외한 주식수의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 주식배당주식수 총수(우선주, 중간배당합,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보통주 주식배당주식수 중간배당합
➔ 주식배당주식수 총수(우선주, 중간배당합,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보통주 주식배당주식수 중간배당합
➔ 주식배당주식수 총수(우선주) : 해당 결산(K, B, T, F)일의 우선주 주식 배당 주식수
➔ 주식배당주식수 총수(우선주,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우선주 주식 배당 주식수
➔ 주식배당주식수 총수(우선주,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우선주 주식 배당 주식수
➔ 주식배당주식수 총수(보통주+우선주, 년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주식배당 주식수의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 주식배당주식수(보통주+우선주, 년간배당합,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주식배당주식수 년간배당합
➔ 주식배당주식수 총수(보통주+우선주, 년간배당합, 기준액면)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주식배당주식수 년간배당합
➔ 주식배당주식수 총수(보통주+우선주, 중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주식배당 주식 중 결산배당을 제외한 주식수의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 주식배당주식수 총수(보통주+우선주, 중간배당합,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주식배당주식수 중간배당합
➔ 주식배당주식수 총수(보통주+우선주, 중간배당합, 기준액면)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주식배당주식수 중간배당합
➔ 주식배당주식수 총수(보통주+우선주) : 해당 결산(K, B, T, F)일의 주식 배당 주식수(보통주+우선주)
➔ 주식배당주식수 총수(보통주+우선주,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주식 배당 주식수(보통주+우선주)
➔ 주식배당주식수 총수(보통주+우선주, 기준액면):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주식 배당 주식수(보통주+우선주)
➔ 현금DPS(보통주, 년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현금 주당배당금의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s_ga121.dps)
➔ 현금DPS(보통주, 년간배당합,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현금주당배당금 년간 합계(=s_ga107.adj_dps)
➔ 현금DPS(보통주, 년간배당합,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현금주당배당금 년간 합계
➔ 현금DPS(보통주, 중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현금주당배당금 중 결산배당을 제외한 주당배당금의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 현금DPS(보통주, 중간배당합,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보통주 현금주당배당금의 중간배당합
➔ 현금DPS(보통주, 중간배당합,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보통주 현금주당배당금의 중간배당합
➔ 현금DPS(보통주): 해당 결산(K, B, T, F)일의 보통주 주당배당금
➔ 현금DPS(보통주, 수정): 액면계수를 반영한 보통주 주당배당금
➔ 현금DPS(보통주,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보통주 주당배당금
➔ 현금DPS(보통주, TTM) : 직전 4분기 합산 현금 주당배당금의 합계
➔ 현금DPS(보통주, TTM,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현금 주당배당금(TTM)의 합계
➔ 현금DPS(보통주, TTM,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현금 주당배당금(TTM)의 합계
➔ 현금DPS(우선주, 년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현금 주당배당금의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s_ga121.dps)
➔ 현금DPS(우선주, 년간배당합,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현금주당배당금 년간 합계(=s_ga107.adj_dps)
➔ 현금DPS(우선주, 년간배당합,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현금주당배당금 년간 합계
➔ 현금DPS(우선주, 중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현금주당배당금 중 결산배당을 제외한 주당배당금의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 현금DPS(우선주, 중간배당합,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보통주 현금주당배당금의 중간배당합
➔ 현금DPS(우선주, 중간배당합,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보통주 현금주당배당금의 중간배당합
➔ 현금DPS(우선주): 해당 결산(K, B, T, F)일의 우선주 주당배당금
➔ 현금DPS(우선주, 수정): 액면계수를 반영한 우선주 주당배당금
➔ 현금DPS(우선주,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우선주 주당배당금
➔ 현금DPS(우선주, TTM) : 직전 4분기 합산 현금 주당배당금의 합계
➔ 현금DPS(우선주, TTM,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현금 주당배당금(TTM)의 합계
➔ 현금DPS(우선주, TTM,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현금 주당배당금(TTM)의 합계
➔ 주식DPS(보통주, 년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주식주당배당금의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s_ga121.dps)
➔ 주식DPS(보통주, 중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주식 주당배당금 중 결산배당을 제외한 주당배당금의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 주식DPS(보통주): 해당 결산(K, B, T, F)일의 보통주 주식 주당배당금
➔ 주식DPS(보통주, TTM) : 직전 4분기 주식 주당배당금의 합계
➔ 주식DPS(우선주, 년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주식주당배당금의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s_ga121.dps)
➔ 주식DPS(우선주, 중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주식 주당배당금 중 결산배당을 제외한 주당배당금의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 주식DPS(우선주): 해당 결산(K, B, T, F)일의 우선주 주식 주당배당금
➔ 주식DPS(우선주, TTM) : 직전 4분기 주식 주당배당금의 합계
➔ 현금DPS(우선주, TTM,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주식 주당배당금(TTM)의 합계
➔ 현금DPS(우선주, TTM,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주식 주당배당금(TTM)의 합계
➔ 현금DPS(보통주, 대주주, 년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대주주 현금 주당배당금의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 현금DPS(보통주, 대주주, 년간배당합,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대주주 현금주당배당금 년간 합계
➔ 현금DPS(보통주, 대주주, 년간배당합,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대주주 현금주당배당금 년간 합계
➔ 현금DPS(보통주, 대주주, 중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대주주 현금주당배당금 중 결산배당을 제외한 주당배당금의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 현금DPS(보통주, 대주주, 중간배당합,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보통주 대주주 현금주당배당금의 중간배당합
➔ 현금DPS(보통주, 대주주, 중간배당합,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보통주 현금주당배당금의 중간배당합
➔ 현금DPS(보통주, 대주주) : 해당 결산(K, B, T, F)일의 대주주 보통주 주당배당금
➔ 현금DPS(보통주, 대주주,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대주주 보통주 주당배당금
➔ 현금DPS(보통주, 대주주,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대주주 보통주 주당배당금
➔ 현금DPS(우선주, 대주주, 년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대주주 현금 주당배당금의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 현금DPS(우선주, 대주주, 년간배당합,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대주주 현금주당배당금 년간 합계
➔ 현금DPS(우선주, 대주주, 년간배당합,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대주주 현금주당배당금 년간 합계
➔ 현금DPS(우선주, 대주주, 중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대주주 현금주당배당금 중 결산배당을 제외한 주당배당금의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 현금DPS(우선주, 대주주, 중간배당합,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보통주 대주주 현금주당배당금의 중간배당합
➔ 현금DPS(우선주, 대주주, 중간배당합,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보통주 현금주당배당금의 중간배당합
➔ 현금DPS(우선주, 대주주) : 해당 결산(K, B, T, F)일의 대주주 우선주 주당배당금
➔ 현금DPS(우선주, 대주주,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대주주 우선주 주당배당금
➔ 현금DPS(우선주, 대주주,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대주주 우선주 주당배당금
➔ 주식DPS(보통주, 대주주, 년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대주주 주식 주당배당금의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 주식DPS(보통주, 대주주, 중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대주주 주식 주당배당금 중 결산배당을 제외한 주당배당금의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 주식DPS(보통주, 대주주) : 해당 결산(K, B, T, F)일의 대주주 보통주 주식 주당배당금
➔ 주식DPS(우선주, 대주주, 년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대주주 주식 주당배당금의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 주식DPS(우선주, 대주주, 중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대주주 주식 주당배당금 중 결산배당을 제외한 주당배당금의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 주식DPS(우선주, 대주주) : 해당 결산(K, B, T, F)일의 대주주 우선주 주식 주당배당금
➔ 현금DPS(보통주, 소액주주, 년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소액주주 현금 주당배당금의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 현금DPS(보통주, 소액주주, 년간배당합,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소액주주 현금주당배당금 년간 합계
➔ 현금DPS(보통주, 소액주주, 년간배당합, 기준액면):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소액주주 현금주당배당금 년간 합계
➔ 현금DPS(보통주, 소액주주, 중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소액주주 현금주당배당금 중 결산배당을 제외한 주당배당금의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 현금DPS(보통주, 소액주주, 중간배당합,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보통주 소액주주 현금주당배당금의 중간배당합
➔ 현금DPS(보통주, 소액주주, 중간배당합, 기준액면):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보통주 현금주당배당금의 중간배당합
➔ 현금DPS(보통주, 소액주주) : 해당 결산(K, B, T, F)일의 소액주주 보통주 주당배당금
➔ 현금DPS(보통주, 소액주주,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소액주주 보통주 주당배당금
➔ 현금DPS(보통주, 소액주주,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소액주주 보통주 주당배당금
➔ 현금DPS(우선주, 소액주주, 년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소액주주 현금 주당배당금의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 현금DPS(우선주, 소액주주, 년간배당합,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소액주주 현금주당배당금 년간 합계
➔ 현금DPS(우선주, 소액주주, 년간배당합, 기준액면):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소액주주 현금주당배당금 년간 합계
➔ 현금DPS(우선주, 소액주주, 중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소액주주 현금주당배당금 중 결산배당을 제외한 주당배당금의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 현금DPS(우선주, 소액주주, 중간배당합,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보통주 소액주주 현금주당배당금의 중간배당합
➔ 현금DPS(우선주, 소액주주, 중간배당합, 기준액면):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보통주 현금주당배당금의 중간배당합
➔ 현금DPS(우선주, 소액주주) : 해당 결산(K, B, T, F)일의 소액주주 우선주 주당배당금
➔ 현금DPS(우선주, 소액주주,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소액주주 우선주 주당배당금
➔ 현금DPS(우선주, 소액주주, 기준액면) : 기준 액면가(5,000원)으로 환산한 소액주주 우선주 주당배당금
➔ 주식DPS(보통주, 소액주주, 년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소액주주 주식 주당배당금의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 주식DPS(보통주, 소액주주, 중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소액주주 주식 주당배당금 중 결산배당을 제외한 주당배당금의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 주식DPS(보통주, 소액주주) : 해당 결산(K, B, T, F)일의 소액주주 보통주 주식 주당배당금
➔ 주식DPS(우선주, 소액주주, 년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소액주주 주식 주당배당금의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 주식DPS(우선주, 소액주주, 중간배당합) : 직전 결산일 이후 기준일자까지의 소액주주 주식 주당배당금 중 결산배당을 제외한 주당배당금의 합계 * 1개 이상의 결산일을 가지는 종목의 경우 1월 1일부터 기준일까지의 합계
➔ 주식DPS(우선주, 소액주주) : 해당 결산(K, B, T, F)일의 소액주주 우선주 주식 주당배당금
➔ 현금배당률(보통주): 보통주 1주당 액면금액에 대하여 지급되는 배당금의 비율
➔ 현금배당률(보통주, 중간배당) : 보통주 1주당 액면금액에 대하여 지급되는 중간 배당금의 비율
➔ 현금배당률(보통주, 년간배당합) : 보통주 1주당 액면금액에 대하여 지급되는 년간 합산 배당금의 비율
➔ 현금배당률(우선주): 우선주 1주당 액면금액에 대하여 지급되는 배당금의 비율
➔ 현금배당률(우선주, 중간배당) : 우선주 1주당 액면금액에 대하여 지급되는 중간 배당금의 비율
➔ 현금배당률(우선주, 년간배당합) : 우선주 1주당 액면금액에 대하여 지급되는 년간 합산 배당금의 비율
➔ 현금배당률(대주주, 보통주) : 보통주 1주당 액면금액에 대하여 지급되는 대주주 배당금의 비율
➔ 현금배당률(대주주, 중간배당, 보통주) : 보통주 1주당 액면금액에 대하여 지급되는 대주주의 중간 배당금의 비율
➔ 현금배당률(대주주, 년간배당합, 보통주) : 보통주 1주당 액면금액에 대하여 지급되는 대주주의 년간 합산 배당금의 비율
➔ 현금배당률(대주주, 우선주) : 우선주 1주당 액면금액에 대하여 지급되는 대주주의 배당금의 비율
➔ 현금배당률(대주주, 중간배당, 우선주) : 우선주 1주당 액면금액에 대하여 지급되는 대주주의 중간 배당금의 비율
➔ 현금배당률(대주주, 년간배당합, 우선주) : 우선주 1주당 액면금액에 대하여 지급되는 대주주의 년간 합산 배당금의 비율
➔ 현금배당률(소액주주, 보통주) : 보통주 1주당 액면금액에 대하여 지급되는 소액주주의 배당금의 비율
➔ 현금배당률(소액주주, 중간배당, 보통주) : 보통주 1주당 액면금액에 대하여 지급되는 소액주주의 중간 배당금의 비율
➔ 현금배당률(소액주주, 년간배당합, 보통주) : 보통주 1주당 액면금액에 대하여 지급되는 소액주주의 년간 합산 배당금의 비율
➔ 현금배당률(소액주주, 우선주) : 우선주 1주당 액면금액에 대하여 지급되는 소액주주의 배당금의 비율
➔ 현금배당률(소액주주, 중간배당, 우선주) : 우선주 1주당 액면금액에 대하여 지급되는 소액주주의 중간 배당금의 비율
➔ 현금배당률(소액주주, 년간배당합, 우선주) : 우선주 1주당 액면금액에 대하여 지급되는 소액주주의 년간 합산 배당금의 비율
➔ 주당주식배당금(보통주) : 배당 보통주의 액면가 기준 가격
➔ 주당주식배당금(보통주, 중간배당): 중간 배당 보통주의 액면가 기준 가격
➔ 주당주식배당금(보통주, 년간배당합) : 년간합산 배당 보통주의 액면가 기준 가격
➔ 주당주식배당금(우선주) : 배당 우선주의 액면가 기준 가격
➔ 주당주식배당금(우선주, 중간배당): 중간 배당 우선주의 액면가 기준 가격
➔ 주당주식배당금(우선주, 년간배당합) : 년간합산 배당 우선주의 액면가 기준 가격
➔ 주당주식배당금(대주주, 보통주) : 대주주 배당 보통주의 액면가 기준 가격
➔ 주당주식배당금(대주주, 중간배당, 보통주) : 대주주 중간 배당 보통주의 액면가 기준 가격
➔ 주당주식배당금(대주주, 년간배당합, 보통주) : 대주주 년간합산 배당 보통주의 액면가 기준 가격
➔ 주당주식배당금(대주주, 우선주) : 대주주 배당 우선주의 액면가 기준 가격
➔ 주당주식배당금(대주주, 중간배당, 우선주) : 대주주 중간 배당 우선주의 액면가 기준 가격
➔ 주당주식배당금(대주주, 년간배당합, 우선주) : 대주주 년간합산 배당 우선주의 액면가 기준 가격
➔ 주당주식배당금(소액주주, 보통주): 소액주주 배당 보통주의 액면가 기준 가격
➔ 주당주식배당금(소액주주, 중간배당, 보통주) : 소액주주 중간 배당 보통주의 액면가 기준 가격
➔ 주당주식배당금(소액주주, 년간배당합, 보통주): 소액주주 년간합산 배당 보통주의 액면가 기준 가격
➔ 주당주식배당금(소액주주, 우선주): 소액주주 배당 우선주의 액면가 기준 가격
➔ 주당주식배당금(소액주주, 중간배당, 우선주) : 소액주주 중간 배당 우선주의 액면가 기준 가격
➔ 주당주식배당금(소액주주, 년간배당합, 우선주): 소액주주 년간합산 배당 우선주의 액면가 기준 가격
가치지표 - 잠정실적지표 관련 옵션
기간 : 조회하고자 하는 시작년도와 종료년도를 선택합니다.
결산 : 조회할 시점을 결산, 반기, 1분기, 3분기 중 선택합니다.
회계 : IFRS개별, IFRS연결 , K-GAAP연결, K-GAAP연결 중 선택합니다.
항목은 다음과 같은 계정으로 이루어졌습니다.
➔ 자본금(잠정실적) 잠정실적 공시보고서의 자본금
➔ 자산총계(잠정실적): 잠정실적 공시보고서의 자산총계
➔ 자본총계(잠정실적): 잠정실적 공시보고서의 자산총계
➔ 부채총계(잠정실적): 잠정실적 공시보고서의 부채총계
➔ 매출액(잠정실적) : 잠정실적 공시보고서의 매출액 * 수정 공시하는 경우 최종 정보
➔ 매출액(분기, 잠정실적) : 잠정실적 공시보고서의 분기 매출액(최종)
➔ 매출액(잠정실적, 연환산): 공시 잠정실적 포함 최근 4분기의 매출액
➔ 매출액(잠정실적, TTM): 공시 잠정실적 포함 최근 4분기의 매출액
➔ 영업이익(잠정실적): 잠정실적 공시보고서의 영업이익(최종)
➔ 영업이익(분기, 잠정실적): 잠정실적 공시보고서의 분기(F, X, Y, Z) 영업이익(최종)
➔ 영업이익(잠정실적, 연환산) : 잠정실적 공시보고서의 분기(F, X, Y, Z) 영업이익(최종)
➔ 영업이익(잠정실적, TTM) : 공시 잠정실적 포함 최근 4분기의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잠정실적) : 잠정실적 공시보고서의 당기순이익
➔ 당기순이익(분기, 잠정실적) : 잠정실적 공시보고서의 분기(F, X, Y, Z) 당기순이익
➔ 당기순이익(잠정실적, 연환산) : 공시 잠정실적 포함 최근 4분기의 당기순이익
➔ 당기순이익(잠정실적, TTM) : 공시 잠정실적 포함 최근 4분기의 당기순이익
➔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영업이익(손실)(잠정실적) : 잠정실적 공시보고서의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영업이익
➔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영업이익(손실)(분기, 잠정실적) : 잠정실적 공시보고서의 분기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영업이익
➔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영업이익(손실)(잠정실적, 연환산) :공시 잠정실적 포함 최근 4분기의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영업이익
➔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영업이익(손실)(잠정실적, TTM): 공시 잠정실적 포함 최근 4분기의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영업이익
➔ EPS-I(잠정실적) : 잠정실적 공시상의 당기순이익을 일수가중평균발행주식수로 나눈 값 * IFRS 연결인 경우 당기순이익지배기업지분을 사용
➔ EPS-I(잠정실적,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EPS-I(잠정실적)
➔ EPS-I(잠정실적, TTM) : 잠정실적 공시 포함 최근 4분기의 당기순이익을 일수가중평균발행주식수로 나눈 값 * IFRS 연결인 경우 당기순이익지배기업지분을 사용
➔ EPS-I(잠정실적, TTM, 수정) : 액면계수를 반영한 EPS-I(잠정실적, TTM)
➔ SPS(잠정실적) : 매출액 잠정실적을 일수가중평균발행주식수로 나눈 값
➔ SPS(잠정실적, 수정) : 액면계수를 방영한 SPS(잠정실적)
➔ SPS(잠정실적, TTM): 잠정실적 포함 최근 4분기 매출액 을 일수가중평균발행주식수로 나눈 값
➔ SPS(잠정실적, TTM, 수정): 액면계수를 방영한 SPS(잠정실적, TTM)
➔ ROA-III (영업이익, 잠정실적) : 잠정실적 추정 ROA-III
➔ ROA-III (영업이익, 잠정실적, TTM): 최근 4분기 잠정실적 추정 ROA-III
➔ ROE-III (영업이익, 잠정실적) : 자본총계 평균 대비 영업이익 잠정실적
➔ ROE-III (영업이익, 잠정실적, TTM): 직전 4분기 자본총계 평균 대비 영업이익 잠정실적
➔ 당기순이익(잠정실적) : 잠정실적 공시 당기순이익
➔ 당기순이익(잠정실적, TTM) : 잠정실적 공시 당기순이익
➔ 당기순이익률(잠정실적) : 잠정실적 당기순이익률
➔ 당기순이익률(잠정실적, TTM) : 잠정실적 당기순이익률
➔ 매출액증가율(잠정실적, YoY) : 전년대비 잠정실적 매출액의 증가율
➔ 매출액증가율(잠정실적, QoQ) : 전분기대비 잠정실적 매출액의 증가율
➔ 세전계속사업이익(잠정실적): 잠정실적 공시 세전계속사업이익
➔ 세전계속사업이익(잠정실적, TTM) : 잠정실적 공시 세전계속사업이익
➔ 세전계속사업이익률(잠정실적) : 법인세차감전계속영업이익(잠정)
➔ 세전계속사업이익증가율(잠정실적, YoY) : 세전계속사업이익(잠정실적)의 전년 대비 증가율
➔ 세전계속사업이익증가율(잠정실적, QoQ) : 세전계속사업이익(잠정실적)의 전분기 대비 증가율
➔ 영업이익률(잠정실적) : 영업이익률(잠정실적)
➔ 영업이익률(잠정실적, TTM) : 영업이익률(잠정실적)
일별주식수 정보 관련 옵션
기간 : 조회하고자 하는 기간을 선택합니다. 캍린더에서 직접 선택하거나, YYYY-MM-DD 형식으로 직접 입력합니다.
시점 : 전체, 월, 화, 수, 목, 금, 월초, 월말 중 선택합니다.
월별주식수 정보 관련 옵션
기간 : 조회하고자 하는 기간을 선택합니다. 캍린더에서 직접 선택하거나, YYYY-MM-DD 형식으로 직접 입력합니다.
배당 정보 관련 옵션 : 조회하고자 하는 시작년도와 종료년도를 선택합니다.
잠정실적 공시정보 관련 옵션
기간 : 조회하고자 하는 시작년도와 종료년도를 선택합니다.
단위 : 출력 단위를 선택합니다.
잠정실적TTM정보 관련 옵션
기간 : 조회하고자 하는 시작년도와 종료년도를 선택합니다.
기준 : 연결, 개별 중 선택합니다.
➔ 잠정실적을 공시하는 대부분 업체가 IFRS기준으로 공시하기 때문에 IFRS만 제공합니다.
단위 : 출력 단위를 선택합니다.
조회
선택한 모든 조건에 해당하는 정보를 다운로드합니다.
다운로드된 정보를 메인 그리드에 출력합니다.
➔ 메인 그리드는 안정성과 속도를 위해 최대 2,000 라인까지만 결과물이 출력되며, 2,000라인을 초과하는 경우 그리드 하단의 페이지이동 버튼을 통해 조회하실수 있습니다.
결과 다운로드(저장)
엑셀 파일로 저장 : 우측상단의 툴 버튼 중 두번째 버튼을 클릭합니다.
활성화된 팝업 메뉴 중 첫번째 "Excel 파일 저장" 메뉴를 선택합니다.
HTML 파일로 저장 : 우측상단의 툴 버튼 중 두번째 버튼을 클릭합니다.
활성화된 팝업 메뉴 중 두번째 "HTML 파일 저장" 메뉴를 선택합니다.
단일 칼럼값을 가지는 텍스트 파일을 원하는 경우 "스페셜저장의 단일칼럼 떼이터 저장" 메뉴를 선택합니다.
결과 텍스트 파일의 한 라인에는 하나의 값만을 가집니다.
다 수의 칼럼이 존재한다면 해당 칼럼값 출력 후 이어서 출력되게 됩니다.
예) 2개년 재무데이터를 조회한 경우 첫번째 년도에 대한 값만 저장된 후 이어서 다음 행에 두번째 년도의 값이 저장됩니다.
행렬 전환 저장
행과 열을 바꿔서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 선택합니다.
Last updated